뉴스
"위도"(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뭉게뭉게 구름을 만들어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06.14
- 북반구를 기준으로 우리나라가 있는 위도 30°~60°는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이와 반대로 위도 0°~30°와 60°~90°에서는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대기가 흘러간답니다. GIB 제공 실험 방법 구름을 만들어 날려보자!※ 실험할 때는 꼭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안전에 유의하세요! 의 ... ...
- [표지로 읽는 과학: 사이언스] 최초로 본 목성의 극지, 푸른빛 거대폭풍 있었다동아사이언스 l2017.05.28
- 암모니아는 지구의 수증기처럼 적도를 따라 높은 농도를 보였고, 극지방으로 가면서 위도가 높아질수록 농도가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목성의 자기장 역시 이론과 모델로 예측한 것보다 더 강력하고, 더 불균일했다. 목성의 자기장은 약 7.8가우스(자기장 단위)로 지구에서 측정한 가장 강력한 ... ...
- 기계파… 도핑파… 훈련파… 당신이 원하는 ‘초인’은?동아사이언스 l2017.03.31
- ● 가장 확실한 방법은 ‘뼈를 깎는 훈련’ 마블 시리즈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블랙 위도우’와 ‘호크 아이’는 평범한 인간이지만 수많은 초인과 어깨를 견주며 당당히 활약한다. 인간의 몸으로 고도의 훈련을 거쳐 초인의 영역에 다다른 것이다. 영화 속 설정이지만 이 같은 일은 실제로 어느 ... ...
- 차기정부 과학기술조직, 중도 표방한 ‘국민의당’ 생각은? 동아사이언스 l2017.02.13
- 이태식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원장은 “만약 탄핵이 인용된다면 차기정부는 인수위도 없이 바로 들어서는데, 정부조직을 바꾸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한가”라고 의문을 던지며 “미래부에 문제가 있다면 그 지점만 보완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 ...
- ‘자연의 신비’ 황홀한 무지개색깔 빛기둥 포착 팝뉴스 l2017.01.21
- 반사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주로 극지방에서 자주 관측되지만 추울 때는 더 낮은 위도에서도 볼 수 있다. 촬영 당시 기온은 섭씨 영하 18도 정도였다고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 ...
- [생활의 시선 48] 개성 음식의 매력2017.01.14
- 음식이, 중부지방보다는 남부지방의 음식이 더 짜고 매운 걸로 봐서는 지역의 위도에 따른 음식 조리의 척도는 ‘부패’ 가능성 여부에 있지 않을까. 한여름 시장에서 굵은소금에 싸여 절여진 생선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말이다. 이처럼 기온이 높을 때 소금간이 약하면 음식은 쉬 상해지기 마련이니 ... ...
- 근시를 막으려면 햇볕을 쬐어라과학동아 l2016.12.28
- 에 야외에서 얼마나 시간을 보냈는지에 대해 물었다. 그리고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위치(위도), 날짜 등을 고려해 참가자들이 쬐었을 자외선(UVB)의 평균치를 계산했다. UVB는 햇볕을 쬐는 야외활동 시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그 결과 청소년기(14~19세)와 젊은 성인이었을 때(20~29세) UVB에 많이 ...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2016.10.18
- 좌우한다. 실제 두 식물의 분포를 보면 저위도에서 C4 식물이 우세하고 중위도, 고위도에서 C3 식물이 우세하다. 1966년 당시 호주 콜로니얼제당주식회사의 연구원 할 해치와 로저 슬랙은 학술지 ‘생화학 저널’에 C4 광합성의 존재를 명쾌히 규명한 논문을 발표했다. 두 사람은 50년이 지난 올해 4월 ... ...
- 단풍놀이 간 산에 낙엽만 수북…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10.02
- 돼야 한다(즉, 낮이 일정정도 짧아져야한다). 임계값은 나무의 종이나 자라는 장소의 위도에 따라 다르다. 정수정 중국 남방과학기술대 환경과학과 교수는 이 자료를 바탕으로 단풍 시작일을 예측하는 온도-광주기 모델(TP 모델)을 개발해 ‘세계 생태와 생물지리학’ 2014년 11월호에 발표했다(doi: 10.1 ... ...
- 나만 몰랐어? 진도, 진앙, 규모 등 지진 관련 용어정리2016.09.13
- 지진파가 발생한 지역을 가리킨다. 쉽게 말해 땅속에서 지진이 가장 먼저 시작된 곳이다. 위도와 경도, 지표로부터의 깊이로 진원을 표시하는데 진원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측정해 표준화한 뒤 그 정도를 매긴 값이 바로 ‘지진규모’가 된다. ● 진앙(seismic epicenter) 땅속에서 지진이 가장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