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방
자유
뉴스
"
자유자재
"(으)로 총 366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마우스! 증강현실(VR) 속 캐릭터 내맘대로 움직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16
스마트폰을 컴퓨터(PC) 마우스처럼 사용할 수 있다. 가상 객체를 3차원 VR 공간에서
자유자재
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기존에는 VR 콘텐츠를 제작하려면 컴퓨터(PC) 환경에 특화된 설계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전문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야 했다.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한계가 ... ...
故 신중훈 KAIST 교수에게 바치는 마지막 논문
동아사이언스
l
2017.02.16
있도록 했다. 자석을 이용해 입자의 배향 방향을 바꿔 주면 가시광선 영역의 모든 색을
자유자재
로 표현할 수 있다. 김 교수는 “광결정 기술에 대한 신 교수님의 선행 연구가 있었기 때문에 탄생할 수 있었던 기술”이라며 “하나의 입자로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는 만큼 반사형 컬러 ... ...
공황장애를 일으키는 가장 원초적인 감정 ‘불안’
2017.02.11
가장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지 스스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불안과 싸우지 않고, 불안을
자유자재
로 이용할 수 있게 길들이는 것이죠. 뭉크의 불안. 불안은 거의 모든 정신장애에서 관찰되는 증상이지만, 또한 생존과 적응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감정이다. 불안은 너무 많아도, 너무 없어도 ... ...
그래핀으로 나노레이저의 성질
자유자재
로 바꾼다
과학동아
l
2017.01.29
GIB 제공 최근 국내 연구진이 광학컴퓨터를 개발하는 데 돌파구가 될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광학컴퓨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자칩에 집적시킬 만큼 작은 레이저를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나노레이저의 색을 바꿀 수 있는 기술을 개발 ... ...
파격 생물학회 ‘매드사이언스 페스티벌’에는 3가지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22
매드사이언티스트는 남궁석 충북대 축산학과 교수의 SNS 필명. 그는 온갖 짤(웃긴 사진)을
자유자재
로 쓰며 오덕스러운 (?) 글을 쓰는 것으로 유명한 SNS 스타다. 매싸페는 남궁 교수가 과학 분야의 다른 SNS 스타들과 함께 준비한 정모이자 대안적 학회다. 의과학블로그 ‘우울한 마빈의 문화산책’ ... ...
연꽃잎 닮은 오염물질 검출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1.19
제어부터 분석까지 한번에 진행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이 교수는 “물방울을
자유자재
로 제어할 뿐 아니라 다양한 바이오 마커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하는 초고속 플랫폼을 제시한 것”이라며 “향후 연구를 통해 한 방울의 혈액으로 다양한 분석이 가능한 진단기기 개발로 이어질 수 ... ...
세계 최고, 여자 축구 테크니션
팝뉴스
l
2017.01.13
‘축구 프리스타일 ’ 최고의 인물로 정평이 나 있다. 축구 규칙에 얽매이는 것이 아니라
자유자재
(프리스타일)로 축구공을 컨트롤하는 그녀의 모습을 담은 동영상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유명하다. 하켈 베네티는 다양한 악조건(?) 속에서 묘기를 부린다. 계단을 달려내려 오면서도 축구공을 ... ...
강력한 총을 사랑하는 여인 ‘화제’
팝뉴스
l
2017.01.08
된 비결은 특이한 취미 덕분이다. 그녀는 총기류를 아주 사랑한다. 많은 종류를 모았고
자유자재
로 사용할 수 있다. 머그도 수류탄 모양이다. 브레는 거칠다. 동시에 아름답다. 이 모순적인 양면을 모두 갖고 있는 것이 그녀의 매력 포인트일 것이다. 한편 비판적 반응을 보이는 네티즌도 없지 않다. ... ...
피부처럼 유연한 박막트랜지스터(TFT)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불빛은 여전히 밝은 것을 볼 수 있다. - 사이언스 제공 투명하고 얇은 데다 고무처럼
자유자재
로 늘어나는 고성능 초박막트랜지스터(TFT)가 나왔다. 몸에 붙여 사용할 수 있는 차세대 ‘웨어러블’ 전자기기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저난 바오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팀은 최대 2배까지 길이를 ... ...
그 어려운 3D 영상 편집, 스마트폰으로 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3
ETRI) 감성디자인콘텐츠연구실장 연구팀은 간단한 조작을 통해 3D 영상을 만들고
자유자재
로 편집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앱의 주요 기능은 △3D 영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레이어(영상 층) 분리 △3D 영상의 배경 편집 △하나의 3D 콘텐츠를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