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방
자유
뉴스
"
자유자재
"(으)로 총 366건 검색되었습니다.
얼굴 수술용 인조 뼈, 3D 프린터로 만들었다
2016.08.31
쓸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이 소재를 3D 프린터를 이용해 원하는 형태로
자유자재
로 찍어 낼 수 방법 역시 개발했다. 지금까지는 얼굴 재건 수술을 위해 신체 다른 부위에 있던 뼈를 잘라 손상된 얼굴뼈에 맞춰 깎고 이식해야 해 수술시간이 8시간 이상 걸렸다. 윤 교수팀의 기술을 이용하면 ... ...
온 몸이 문어처럼 움직인다고? 초소형 소프트 로봇 개발
2016.08.25
세부 움직임을 조정한다. 다리마다 구동장치가 두 개씩 붙어 있어 기압의 크기를 조절해
자유자재
로 움직인다. 다리 끝은 최대 80도까지 움직일 수 있다. 기존 로봇처럼 정해진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관절이 없기 때문에 훨씬 유연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옥토봇을 복잡한 임무를 수행할 ... ...
줄기세포
자유자재
로 조절하는 물질 찾았다
2016.08.09
Pixabay 제공 국내 연구진이 줄기세포의 분화를 조절할 수 있는 핵심 물질을 발견했다. 줄기세포는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될 수 있어 ‘만능 치료 세포’로도 불린다. 윤홍덕 서울대 의대 교수팀은 인체 내 대사물질로 알려진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이 줄기세포 분화와 관련 깊다는 사실을 ... ...
반도체 제작 걸림돌 ‘빛 번짐’ 잡았다
2016.08.08
팀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의 방해 요소인 빛의 회절과 간섭 효과를 역이용해
자유자재
로 구조 제어가 가능한 3차원 나노구조체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반도체 회로 등 미세한 패턴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사진 인화 과정과 비슷하다. 빛에 반응하는 판을 ... ...
화성탐사에 활용 가능한 ‘휴대용 제약공장’ 개발
2016.07.31
많은 양의 약물 단백질을 빠르게 합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때그때 필요한 약물을
자유자재
로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존 방식에 비해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 ...
대덕연구단지 ‘사이언스 리그’의 에이스 투수는 여성 과학자
2016.07.26
활약 중인 그는 시속 85~90㎞의 빠른 직구는 물론 커브와 슬라이더 등 변화구까지
자유자재
로 구사한다. 평소에는 밤 10시까지도 실험에 푹 빠져 있는 과학자로 동물실험을 대체할 인공장기 모델인 ‘오가노이드’ 연구를 이끌고 있지만 일단 마운드에 올라서면 상대 타자들을 압도한다. 연습 ... ...
빛의 색깔
자유자재
로 바꾸는 방법, 사탕에서 찾았다
2016.07.25
연구진이 사탕에서 나타나는 광학 현상을 응용해 전력 없이 빛을 생산하고 빛의 색깔을
자유자재
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정순문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나노에너지융합연구부 선임연구원 팀은 사탕이 부서질 때 자외선이 발생하는 ‘미케노발광’ 현상을 응용해 빛의 색 조절 기술을 ... ...
모 아니면 도! 사랑앵무는 딱 두 가지 속도로만 난다!
2016.07.21
통해 발견했습니다. Benjamint444(W) 제공 인류는 수백, 수천 년 동안 새들이 하늘을
자유자재
로 날아다니는 것을 봐왔습니다. 하지만 특정 종류의 새가 빠르거나 느린, 단 두 종류의 속도로만 비행한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명확하게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사실, 환경의 변화에 따라 ... ...
미래 신소재 그래핀
자유자재
로 접는 방법 찾았다
2016.07.17
네이처 제공 ‘꿈의 신물질’로 불리는 그래핀은 탄소 원자를 벌집모양 6각형 구조로 늘어놓은 평면 구조다. 이번 주 네이처는 평평한 평면구조였던 그래핀을 입체구조로 접는데 성공한 연구 성과가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그레헴 크로스 아일랜드 더블린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다이아몬드 바늘을 ... ...
“낮은 온도에서도 효율적으로 수소 저장”
2016.07.13
터널 격자 구조의 바나디움 산화물 박막을 만들어 단위 격자당 최대 2개의 수소 원자를
자유자재
로 흡착하거나 탈착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소재는 기존의 금속 수소 저장 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120도에서도 수소의 흡착과 탈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졌다. 더 안정적인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