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스페셜
"
가설
"(으)로 총 36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보다 신성하다
2019.09.05
물체에서 나온 빛이 눈을 자극해 사물을 인식한다는 올바른 설명을 내놓았다. 또한
가설
검증을 위한 실험통제 방법을 개발해 현대적인 과학적 방법론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뉴턴이 《광학》이라는 책을 낸 것이 1704년이니까 알 하이삼의 업적이 얼마나 시대를 앞섰는지 짐작할 수 있다. 이렇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없다. 그럼에도 연구자들은 배양과 게놈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핵세포 기원을 설명하는
가설
인 ‘E3 모형’을 만들었다. E3은 Entangle(얽힘), Engulf(삼킴), Enslave(예속)를 뜻한다. 배양된 고세균 보고 새로운 시나리오 만들어 연구자들은 진핵생물의 진화를 여섯 단계로 나눠 제시했다. 첫 단계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우연히 우주배경복사(마이크로파)를 발견했고 온도가 3K임을 확인했다. 가모프와 앨퍼의
가설
을 입증한 것이다. 1989년 발사된 우주배경복사 관측위성인 코비는 우주배경복사 지도를 만들었고 우주의 온도가 2.7K임을 밝혔다. 2001년 발사된 우주배경복사탐사위성(WMAP)은 코비 위성보다 훨씬 높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울음이 주는 메세지
2019.07.27
놀라운 사실은 의외로 그렇다고 볼만한 증거는 별로 없다는 점이다. 울음의 기능에 대한
가설
들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울음이 그 자체로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몸과 마음에 좋지 않은 반응들을 ‘해소’시켜주는 기능이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울음이 그 자체로 스트레스 반응과 ... ...
'몸에 열 많은 사람은 살 안 찐다' 과학적 근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서준영 연세대 의대 의생명과학부 교수(왼쪽)과 성제경 서울대 수의대 교수(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장). 서울대 제공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섭취 에너지가 ... 통해 (체온을 낮춰) 인체를 방어하는 데 관여할 가능성도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이
가설
을 밝힐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인류 달 탐사 50년]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을 안 믿는 사람들에게 (2)
과학동아
l
2019.07.06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2018년 발표했다. 지구 평면설은 지구가 둥글지 않고 평평하다는
가설
이다. 과학적으로 말이 안 되는 것 같지만 2017년부터는 ‘평평한 지구 국제 콘퍼런스(FEIC)’라는 학회도 열리고 있다. 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유튜브를 통해 지구 평면설과 관련된 영상을 본 사람들은 9·11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
2019.06.06
인간 염색체 숫자가 48개로 정해진 건 1923년의 일로, 46개와 48개로 논란이 중이던
가설
을 테오필루스 페인터가 논문을 통해 확정지었다. 이 후, 인간 염색체 연구자들은 별다른 의심 없이 인간은 48개의 염색체가 있다고 믿게 된다. 이후 치오와 레반의 연구로 교정되기까지, 무려 33년 동안 과학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밝혀질 수 있을까
2019.05.21
‘DNA가 먼저냐 단백질이 먼저냐’는 딜레마에서 벗어날 수 있으므로) 뒤이어 ‘RNA세계
가설
’도 나왔지만 이를 토대로 생물이 등장한다는 시나리오는 실현성이 너무나 희박하다. 핵산이나 아미노산 같은 정보와 관련된 분자가 비생물 과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고 하더라도 생물체가 되려면 폐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널리 관찰되는 현상으로 1969년 영국의 어류학자 데이비드 쿠싱이 제안한 ‘일치·불일치
가설
(match/mismatch hypothesis)’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쿠싱은 대구 치어가 섭식활동을 하는 시기와 먹이로 삼는 플랑크톤의 번성 시기가 일치하면 치어의 생존율이 높지만 일치하지 않으면 낮다는 걸 발견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백내장과 녹내장은 왜 생기는 걸까
2019.04.09
보고 착각해 공격을 개시한다는 말이다. 연구자들은 두 가지 실험을 통해 이
가설
을 뒷받침했다. 먼저 몸에 장내미생물을 비롯해 박테리아가 전혀 없는 무균생쥐를 대상으로 안압 상승을 유도했을 때 녹내장 발생 여부를 관찰했다. 대조군인 보통 생쥐는 전형적인 비율로 발생한 반면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