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스페셜
"
가설
"(으)로 총 36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인 이유, 뇌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는 라틴어로 ‘지혜가 있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이름 뜻 그대로 호모 사피엔스가 뇌 구조의 차이로 네안데르탈인보다 더 ... 능력이 큰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오기하라 교수팀의 연구는 이 같은
가설
을 뒷받침 할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나가는 중이다. 호킹은 치열한 연구 경쟁 속에서도 특유의 유머를 잃지 않았다. 우주론
가설
의 결론을 두고 내기를 하는가 하면 2013년 자서전을 통해서는 이렇게 말했다. “대다수의 이론물리학자들은 블랙홀에서 양자 방출이 일어난다는 나의 예측이 옮음을 인정할 것이다. 비록 그 방출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세금을 쏟아부을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 글의 마무리는 3년 전 ‘암 발생의 불운
가설
’ 논란 때와 비슷하다. 설사 성인 신경생성이 일어나지 않더라도, 즉 ‘네이처’ 논문이 맞더라도 뇌를 건강하게 유지하려는 노력(숙면, 독서, 운동)을 게을리하지 말아야겠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스티븐 호킹은 어떤 업적을 남겼나
2018.03.15
질량보존 법칙에 의해 어디선가는 사라진 물질이 나오는 화이트홀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
에 따른 것이었다. 그러나 1974년 이후부터는 이런 이야기가 사라졌다. 32세에 불과했던 젊은 과학자, 스티븐 호킹이 블랙홀이 에너지를 방출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증명하면서부터다. 스티븐 ... ...
태초 특이점,블랙홀 이론...스티븐 호킹이 남긴 학문적 업적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우주가 탄생한다는
가설
, 물질이 블랙홀로 들어가면 정보는 사건의 지평선에 남겨둔다는
가설
등이다. 아직 만족할 만한 해답은 제시되지 않았다. 수정된 이론을 통해 호킹은 블랙홀도 양자역학의 기본원칙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을 받아들였다. 10년 뒤인 2014년 호킹은 이를 재차 수정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종류는 게놈 분석 결과 금귤(kumquat)과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호주가 감귤류의 원산지라는
가설
을 일축했다. 감귤류 식물은 대략 400만 년 전 호주로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지난번에 순종 만다린이 없어 당황했던 연구자들은 이번에 중국 곳곳에서 만다린을 수집했고 그 결과 게놈을 해독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유드킨의 발견을 재현하는데 실패했다. 결국 1970년 ‘랜싯’에 발표한 논문에서 “설탕
가설
을 지지하는 증거가 희박했다”고 결론내렸다. 그리고 이듬해 62세의 유드킨은 학계에서 은퇴했다. 한편 헤그스테드는 1977년 미 상원 위원회의 ‘미국을 위한 식단 목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잠정적으로 늑대개라고 부른 것이다. 개와의 협력이 현생인류의 성공에 중요했다는
가설
을 담고 있는 ‘침입종 인간’이 최근 번역출간됐다. 2015년 출간된 원서의 표지로 개가 늑대처럼 생긴 것으로 묘사돼 있다.- 아마존(amazone.com) 제공 즉 시프먼 교수에 따르면 유럽에 진출한 호모사피엔스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뒷받침하지만 지구화학적 데이터는 일치하지 않는다”면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가설
이지만 이를 수정하거나 다시 재논의하는 절차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최초의 미국인은 어디서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3
때문이다. 클로비스 문화가 생겨난 지 1000년이나 지난 뒤의 시점이다. 그 뒤 대두된
가설
은 태평양 해안을 따라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했다는 내용이다. 인류학자와 과학자들은 현재 팀을 이뤄 태평양 지역의 옛 만과 하구 지역을 탐사하고 있다. 인디언들이 이동할 때 휴식처로 활용했을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