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스페셜
"
가설
"(으)로 총 36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의 비밀 풀기위해 한국에 모인 암흑물질 연구자들
IBS
l
2016.08.02
6600만 년 전 공룡의 대멸종을 유발했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리사 랜들 교수의
가설
대로라면, 암흑물질로 인해 언제 또다시 소행성이나 혜성이 태양계로, 지구로 날아올지 모른다. 물리학자들은 지구를 비롯해 우주에서 우리가 볼 수 있고 확인할 수 있는 물질은 전체 우주의 약 4.4%에 불과하다고 ... ...
케톤음료, 도핑검사 걱정없는 에너지원?
2016.08.01
연소가 일어난다. 그 결과 근육세포에는 젖산이 쌓이면서 근육이 피로를 느낀다는
가설
이 있다. 그런데 케톤음료를 마실 경우 근육세포의 에너지원이 다양해지면서 젖산이 덜 만들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뉴스에 따르면 케톤음료는 1년 내에 상용화될 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될 경우 머지않아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회복하지 못했다. 죽음을 앞둔 메치니코프를 더 괴롭게 한 건 자신의 죽음이 곧 자신의
가설
에 대한 ‘반증’으로 작용할 거라는 걱정 때문이었다. 즉 다른 미생물의 섭취는 억제하고 유산균을 많이 먹으면 150년을 살 수 있다며 자신이 20년 가까이 엄격하게 실천하고 있었는데 그 절반도 못되는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풍족할 때는 안정적인 환경을 선호하고 부족할 때는 변이가 큰 환경을 선호할 것이라는
가설
이 있는데 이를 ‘위험감수성이론’이라고 부른다. 즉 부족한 게 없을 때는 위험(불확실성)을 회피하고 부족할 때는 위험을 선호한다(이판사판)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동물실험에서는 감수성이 약한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비슷해 그 직계조상으로 보인다. 이들은 호모 에렉투스가 왜소화된 인류라는 게 유력한
가설
이다. 아래는 호모 에렉투스의 턱뼈. 이번 발굴결과는 논문 두 편으로 나뉘어 ‘네이처’ 6월 9일자에 실렸다. - 네이처 제공 “(2012년 마지막으로 현장을 방문한) 모우드는 구멍을 더 많이 파고 작업 속도를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얘기다. 50여년이 지난 뒤 영국 옥스퍼드대의 유전학자 에드먼드 포드 교수는 투트의
가설
을 증명해보기로 하고 의사이자 열정적인 아마추어 인시류(나비와 나방) 연구가였던 버나트 케틀웰에게 이 임무를 맡겼고 케틀웰은 1953년 7월 그 유명한 나방실험을 진행했다. 케틀웰은 날개 밑면에 표시를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혼혈 남아 유산됐을 가능성 학술지 ‘미국인간유전학저널’ 4월 7일자에는 위의 필자
가설
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일지도 모르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현생인류의 Y염색체에는 네안데르탈인의 흔적이 없을 가능성이 높고 그 원인은 다른 상염색체의 유전자들과 궁합이 맞지 않아서일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인간진화생물학과(즉 랭엄 교수의 동료다) 다니엘 리버만 교수는 랭엄 교수의 ‘요리
가설
’을 반박하는 실험결과를 발표했다. 즉 호모 에렉투스가 식생활에서 요리를 본격적으로 도입한 50만 년 전보다 훨씬 이전부터 현생인류의 해부적 특징, 즉 턱과 치아, 저작근육, 소화장기가 작아진 게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인한 변이가 섞여 있는 걸로 봤다. 지난해 초 발표돼 화제가 된 암 발생의 ‘불운
가설
’은 데이터를 잘못 해서한 결과라고 주장하는 논문이 ‘네이처’ 1월 7일자에 실렸다. 즉 암 발생률(세로축)과 줄기세포 분열횟수(가로축)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 분포돼 있는 여러 암 가운데 아래쪽에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게임이론으로 노벨상 받은 수학자 존 내쉬
2015.12.30
세에 MIT 교수가 됐고 앨리샤라는 물리학도와 결혼도 했다. 그런데 1959년 한 학회에서 리만
가설
에 대한 강의를 할 때 이상조짐이 포착됐고 결국 피해망상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았다. 수년간 정신병원을 들락거리고 1963년 이혼까지 하면서 바닥까지 추락한 내쉬는 그러나 기적적으로 증상이 서서히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