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힘이 센 강철 로봇슈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방식으로 입는 로봇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이 로봇을 입으면 한 팔로 50kg, 두 팔로 100kg이나 되는 물건도 들 수 있답니다. 이 로봇을 이용하면 공장이나 건설현장에서 무거운 재료를 직접 들어 옮길 수 있지요. 또 지진이나 쓰나미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무너진 집이나 나무, 바위 등에 깔린 ... ...
- 양자를 훔친 악동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했다. 하지만 하이젠베르크의 혁명적인 행렬역학이 탄생한 때를 고려하면, 2025년이 100주년이라는 목소리도 있다. 이것은 괴팅겐대의 주장이다. 하이젠베르크가 1925년에 괴팅겐대에 있었고, 플랑크는 베를린대 교수였다는 것을 생각하면 왜 싸우는지 알 수 있다. 양자혁명의 횃불을 켠 사람은 분명 ... ...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파도도 충분히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갖고 있다. 이론적으로 파고가 2m인 파도 ‘하나’는 100W짜리 전구 250개를 밝힐 수 있는 에너지를 갖는다. 파도의 에너지가 이처럼 강력한 것은 물이 밀도가 크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물의 속도를 말할 때는 공기와 비교를 많이 한다. 하지만 물은 공기에 비해 ...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세계적인 학술정보서비스 기업인 톰슨로이터가 선정한 2011년 세계 재료과학자 100인 중 16위에 오른 로드니 루오프 교수가 이끌고 있다. 미국 오스틴에 있는 텍사스주립대 교수였던 루오프 교수는 UNIST에서 10명의 연구원을 이끌고 탄소의 새로운 구조를 밝히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탄소는 새로운 ... ...
- BRIDGE - ELO랭킹 적용하면 한국 16강 확률 높아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단, 시간이 오래 지난 경기는 점수가 낮아지므로 총점이 무한정 오르지는 않는다). 100경기에서 10번 이긴 팀이 10경기에서 9번 이긴 팀보다 점수가 높을 수 있다. 대륙별 가산점도 있다. 유럽이나 남미 국가를 기준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에 0.86배를 하는 식이다.이런 문제 때문에 경기 예측에 ... ...
- “진주운석이 소중한 건 우주 궤도를 알 수 있기 때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진주 운석’을 주제로 변 교수와 이승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원이 과학동아 독자 100여 명과 함께 서울 용산구 동아사이언스 사옥 사이언스홀에서 만난 자리였다. 과학동아카페는 과학동아가 매달 여는 과학토크콘서트다.“운석은 소행성에서 떨어져 나온 것이기 때문에 태양계 저 너머 우주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전세계에서 유전자변형쥐의 신체검사를 의뢰하기 때문이다. 검사가 끝나면 과학자들은 100페이지가 넘는 보고서를 받는다. 유전자변형 쥐 한 마리에 대해 모든 것이 담겨 있는 건강기록부인 셈이다. 과학자들은 왜 그들이 직접 분석하지 않고 이곳에 의뢰하는 걸까.“GMC는 세계 최초로 세워진 공동 ...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이야기는 페로의 동화와 아주 유사하다. 다만 마지막 장면이 조금 다르다. 오로라 공주는 100년 동안 잠들어 있었는데, 깨어나는 날 우연히 그 근처를 지나가던 왕자가 공주를 보고 한눈에 반해 공주에게 입을 맞춘다. 그리고 때마침 잠에서 깬 공주가 왕자를 사랑하게 된다.이처럼 두 개의 동화와 ...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그들은 하와이대에 함께 재직할 당시 불규칙위성 을 몇 개까지 발견할 수 있을지를 놓고 100달러(10만 원) 내기를 걸었다. 스승인 제비트 교수는 10개 미만이라고 예상했고, 제자인 셰퍼드 박사(당시 대학원생)는 그 이 상이라고 예상했다. 결과는? 셰퍼드 박사의 완승이었다. 두 사람이 5년 동안 발견한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뮌헨공대, 스위스 로잔연방 공대, 브라질 에드먼드릴리사프라 국제신경과학원 등 에서 100여 명의 과학자들이 참여한 거대 프로젝트다. 개막식 행사를 위해 2011년 결성된 프로젝트팀은 현재 주말과 휴일을 반납한 채 밤낮없이 마무리 작업을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1990년대 듀크대 미구엘 ... ...
이전2562572582592602612622632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