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277건 검색되었습니다.
대기·물 속 미세먼지·미세플라스틱 ‘꼼짝마’...KIST·서울대 ‘나노갭 전극’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1
나노 입자를 손상 없이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다. 2018년 노벨
물리
학상을 수상한 ‘광 집게’ 기술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100nm 이하 크기의 입자를 대기나 물과 같은 유체 환경에서 포집·선별·정제·농축하는 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KIST와 서울대 공동연구진은 ... ...
초신성 폭발 휩쓸리지 않은 별 잔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충격파에 휩쓸리지 않고 원형 그대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구본철 서울대
물리
천문학부 교수 연구팀은 초신성의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담은 원형 그대로 남은 별의 잔재를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고 이달 1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고 19일 ... ...
'암흑물질' 후보입자 검출? 국제연구팀 발표에
물리
학계 떠들썩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높았다. 3.5시그마일 경우 측정값이 통계적 오류일 가능성은 1만 분의 2에 불과하다. 다만
물리
학에서 ‘관측’이라고 인정하는 수준인 5시그마(99.99994%)에는 미치지 못해 향후 추가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제논1T는 제논의 양을 3배 더 늘리는 업그레이드를 진행 중으로, 더 많은 데이터를 ... ...
21일 부분일식 스마트폰과 과자봉지만 있어도 쉽게 찍는다
과학동아
l
2020.06.18
거의 없었고 무엇보다 둥근 태양의 형태가 온전하게 찍혔습니다. 박승한 연세대
물리
학과 교수는 “과자봉지에 코팅된 알루미늄 박막이 일부 빛은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시켜 ND필터와 유사한 효과를 낸다”며 “다만 애초에 촬영용으로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빛 투과율이 너무 높거나 낮아 ... ...
토성 위성 '타이탄' 극지 함몰 지형 "폭발성 분화 증거"
연합뉴스
l
2020.06.17
산재한 화산 분화구 흔적을 연구한 결과를 미국지구
물리
학회(AGU) 대표 학술지인 '지구
물리
학 저널'(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타이탄의 북극 주변에 산재한 작은 함몰 지형 중 일부는 주변보다 벽이 높거나 큰 침강 안에 작은 침강이 존재하는 등 형태적 특징이 붕괴한 ... ...
코세라와 THE·미네르바스쿨·브루킹스연구소 '온라인' 모여 교육미래 논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글로벌러닝 엑스프라이즈’에서 대상을 받은 ‘에누마’의 이수인 대표, 함무카사
물리
라 우간다 온라인대학 이사장, 사디아 자히티 세계경제포럼(WEF) 전무이사 등도 발표에 참여한다. 김정호 GSI 소장은 “코로나19가 앞당긴 비대면 시대의 교육 의제들을 국제사회와 함께 풀어가기 위해 이번 ... ...
[코로나19의 유체
물리
학]’변기 뚜겅 닫고 물내리세요. 바이러스 튀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분석한 것이다. 오른쪽은 변기 물을 내릴 때 생성되는 에어로졸 입자를 나타냈다. 유체
물리
학 제공 그 결과 변기를 내릴 때 에어로졸이 거의 92cm 높이까지 튀어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변기의 물이 한쪽에서 쏟아지며 소용돌이를 만든다”며 “이 소용돌이는 위로 솟아 오르며 ... ...
[코로나19의 유체
물리
학]"마스크 써도 침방울 최대 1m까지 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마스크 착용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 발생하는 침방울 전파의 차이를 표현했다. 각 그림 오른쪽 상단은 시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유체
물리
학 제공 의료용 마스크를 착용해 ... 경우, 훨씬 더 완벽한 개인보호장비를 권장한다”고 밝혔다. 유체
물리
학 제공 . 유체
물리
학 제공 ... ...
"인류와 소통 가능한 외계문명 최소 36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데이터와 가설을 통해 외계문명 추정치를 도출하는 방법을 개선한 연구결과를 천체
물리
학저널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기본적으로 지구와 유사한 행성에서는 지구처럼 지적 생명체가 형성될 것이라는 가설과 수십억년 내에 생명체는 자연스럽게 진화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조건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만들어 1991년 리튬이온배터리가 상용화됐기 때문이다. 나카무라 슈지는 2014년 노벨
물리
학상을 받았고 요시노 아키라는 지난해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도멘 교수팀이 태양광 기준 양자 효율이 10%에 이르는 광촉매 개발에 성공해 진정한 수소경제 시대를 여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면 40년 넘게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