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277건 검색되었습니다.
별 형성 영역 깊숙이서 쌍성계 만드는 원시별 생생하게 포착
연합뉴스
l
2020.06.10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관측 결과를 국제 학술지 '천체
물리
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에 논문으로 제출해 게재 승인을 받았다. 연구팀에 따르면 A1은 태양에 약간 못 미치는 질량을 갖고 있으며,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벨트 궤도의 지름 정도로 펼쳐진 먼지원반에 ... ...
한국 영원히 변치 않는 1kg 질량 기준 만들었다…美·加와·어깨
동아사이언스
l
2020.06.10
10일 밝혔다. 키블저울은 전자기력으로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을 가늠해 고정된
물리
상수 값을 기준으로 측정 대상의 질량을 측정하는 장비다. 국제비교는 각국의 측정값을 비교하는 것으로 단위 분야별 국제비교가 실행중이다. 표준연 연구진이 이번에 참여한 국제비교는 단위 재정의 이후 국제 ... ...
"코로나19 핸드폰·면·나무표면에 더 오래 남아있을 수 있어"
연합뉴스
l
2020.06.10
바르드와즈 교수와 아미트 아그라왈 교수팀은 10일 미국
물리
학협회(AIP) 학술지 '유체
물리
학'(Physics of Fluids)에서 뉴욕, 싱가포르 등 세계 6개 도시 환경에서 각기 다른 물체 표면에서 액체 방울이 마르는 데 걸리는 시간을 시뮬레이션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는 ... ...
창의재단 이사장 4명 연이은 중도 사퇴…요원한 기관 정상화
2020.06.09
1월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태현 이사장 후임으로 선임된 서은경 전북대
물리
학과 교수는 2018년 5월 이사장에 취임해 100일도 채 지나지 않은 8월 20일 사임했다. 서은경 전 이사장은 취임 후 교수 시절 연구비 부정 집행 의혹이 불거졌고 사의를 표명했다. 이번에 사임한 안 이사장은 ... ...
1m 거리두기만으로 바이러스 감염위험 82% 줄어...마스크 쓰면 85%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일 발표된 논문의 내용을 소개했다. 정 본부장은 “코로나와 같은 호흡기 감염병 방역에
물리
적 거리두기(사회적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이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대해 기존 44개 문헌을 메타분석한 결과, 의료환경이나 지역사회에서 사람 간 거리를 1m 유지할 경우 바이러스 감염 위험이 82% ... ...
와인 ‘떫은 맛’ 구분하는 ‘전자 소믈리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것이다. 소수성 응집체는 물에 잘 섞이지 않는 물질을 말한다. 수화젤은 수용성 고분자가
물리
적 또는 화학적 결합에 의해 3차원 그물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물질로 용해되지 않고 상당량의 물을 함유할 수 있는 친수성이 높다. 연구팀이 개발한 고분자 수화젤은 혀 점막 단백질 역할을 하는 ... ...
[프리미엄 리포트]키보드 1시간 두드리면 살 얼마나 빠질까
2020.06.06
있다. innocent@pusan.ac.kr ※관련기사 과학동아 6월호 [특집] 살이란 무엇인가? Part1.
물리
학자의 뱃살은 왜 늘어나는가? Part2.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 └[인포그래픽] 유전자로 보는 지방세포의 운명 Part3.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 Part4.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 ... ...
메모지처럼 붙이고 가위 잘라도 빛나는 LED 패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4
패널 제작기술이 개발됐다. 홍영준 세종대 나노신소재공학과 교수와 홍석륜 세종대
물리
천문학과 교수, 김문 미국 텍사스주립대 재료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기판에서 쉽게 떼어내 자유롭게 형태를 바꿀 수 있는 질화갈륨 소재 마이크로LED를 개발해 이달 4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 ...
'작은 것이 맵다'…구경 6㎝ 망원경으로 41광년 밖 행성 확인
연합뉴스
l
2020.06.03
잡아냈다"면서 "이번 논문은 아스테리아 미션의 동기가 된 개념, 즉 소형 우주선도 천체
물리
학과 천문학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정당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NASA의 천체면 통과 외계행성 탐색 위성인 '테스'(TESS)의 모든 능력을 큐브샛에 담아내는 것은 불가능하겠지만 ... ...
시민과학자 도움으로 원시행성 원반 가진 갈색왜성 찾아
연합뉴스
l
2020.06.03
찾아내 관심을 받고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 따르면 이 대학 카블리 천체
물리
학우주연구소의 스티븐 실버버그 박사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100 파섹(1pc=3.26광년) 내에서 가장 젊은 갈색왜성을 찾아냈다고 2일 밝혔다. 'W1200-7845'로 명명된 이 갈색왜성은 형성된 지 약 370만년된 것으로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