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뉴스
"
위치
"(으)로 총 5,275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 광원 제어 기술개발로 양자컴퓨팅 시대 앞당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단일 양자광원을 만들어 낸다. 이때 피라미드 구조의
위치
를 옮기면 양자 광원의
위치
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양자 광원의 파장은 꼭짓점에 집중되는 힘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힘은 실리콘 미세 소자 외부에서 전기로 제어 가능하므로, 양자 광원의 파장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 ...
'어미별과 아기행성의 이름을 지어주세요' 외계행성 이름짓기 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19.10.02
지은 적은 아직 없다. 공모전을 통해 이름을 지어줄 외계행성은 작은곰자리에
위치
한 '어미별(8 UMi)'과 이 별을 공전하고 있는 '외계행성(8 Umi b)'이다. 이 외계행성계는 2015년 이병철 천문연 변광천체그룹 책임연구원이 경북 영천시 보현산천문대에서 1.8m 망원경으로 발견한 첫 번째 외계행성이다. ... ...
김종훈 의원 "원전 7곳서 증기발생기 내 이물질 발견" 부실제작 추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0.01
영광군 홍농읍 계마리에
위치
한 한빛 원자력발전소. 연합뉴스 증기발생기 내에 이물질이 남아있는 있는 원전이 7곳으로 확인됐다. 이물질 수는 총 44개로 파악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김종훈 민중당 의원이 1일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원전 증기발생기 ... ...
'스마트 변전소' 핵심기술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9.30
변전소 내 수많은 전기설비 보호기기와 제어기기 간 주고받는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위성
위치
확인시스템(GPS) 시각에 정확히 맞추는데도 쓰인다. 연구팀은 두 기술에 필요한 시스템반도체 설계자산(IP) 설계부터 모듈화 통합 장치까지 모두 국산화 개발에 성공했다. 전력망 통신 분야 최신 ... ...
고체에서 액체가 되는 순간 분자 상태 첫 촬영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9.30
상태에서는 분자배열이 불규칙적이고 각각의 분자들이 활발하게 움직여 단일 분자들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은 어렵다. 연구팀은 그래핀 위에 풀러렌 분자 결정을 제작해 이런 어려움을 해결했다. 풀러렌은 탄소 동소체 중 하나로 탄소 원자들이 오각형 혹은 육각형 모양으로 결합해 ... ...
일론 머스크, "화성 탐사 위한 '스타십' 시제기 6개월 내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9.29
장착될 예정이다. 스타십과 수퍼헤비가 합쳐져서 BFR을 이룬다. 28일 미국 텍사스에
위치
한 스페이스X의 시험발사장에서 스타십 시제품(왼쪽)을 세운 채 일론 머스크가 브리핑을 하고 있다. 머스크는 가운데 자리잡고 있지만 화면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스페이스X 방송화면 캡쳐 한편 머스크와 ... ...
신고리 1호기, 정기검사 마치고 재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19.09.28
격납건물 콘크리트에서도 빈틈을 뜻하는 공극은 발견되지 않았다. 터빈 발전기가
위치
한 증기발생기 2차측 내부에 검사장비를 넣어 점검한 결과 39개 이물질이 발견됐다. 이물질은 길이 4~27㎜에 무게는 0.001~1.134g 정도의 전기선이나 찌꺼기 등으로 모두 제거됐다. 원안위는 “출력상승시험 등 ... ...
행성사냥꾼 테스, 블랙홀이 별 국수가락 뽑듯 빨아들이는 장면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19.09.27
무게는 태양 질량의 약 600만 배로 관측됐다. 지구로부터 약 3억 75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
한 은하 중심에 존재한다. 파괴된 별의 크기는 태양과 비슷한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조석 교란이 발생하는 중 별의 온도가 4만 도에서 2만 도로 떨어지는 현상도 관측했다. 홀로이엔 연구원은 ... ...
월성1호기 영구정지 심사결과 "원전 안전성 이상무"
동아사이언스
l
2019.09.27
‘활성단층’ 용어를 ‘활동성단층’으로 바꾸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위치
에 관한 기술기준’ 일부 개정고시안도 심의 및 의결됐다. 활성단층은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단층을 뜻한다. 학계 또는 기관에 따라 기준에 이견이 있는 단어다. 반면 활동성단층은 3만 5000년 이내 ... ...
레이저 쏘면 뇌신경 ‘ON’… 빛으로 동물행동 제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7
끄는 기술을 개발했다. 평소에는 단백질이 기능을 하지 않고 있다가 빛을 비추면 마치 스
위치
를 켠 것처럼 작동하는 원리다. 스마트폰 손전등이나 레이저 포인터로 켜고 끈다. 허 교수는 “광유전학을 이용하려면 지금까지는 수술을 통해 실험동물의 뇌에 광섬유를 심어야 했다”며 “수술을 하지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