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스페셜
"
분
"(으)로 총 2,948건 검색되었습니다.
땀 흘린 뒤 마신 시원한 맥주 맛을 잊을 수 없는 이유
2016.08.16
같은 양의 따듯한 물보다 갈증해소효과가 더 크다(가운데). 즉 갈증뉴런은 실제 몸의 수
분
상태가 아니라 구강에서 오는 감각신호를 바탕으로 갈증해소 여부를 판단한다. - 네이처 제공 연구자들은 다양한 갈증해소 예감 조건에서 갈증뉴런의 반응을 관찰했다. 예를 들어 물통을 보여주기만 할 경우 ... ...
[타운이 만난 사람들-멘티편] “무엇을 찾아야 할지 자신이 잘 알아야 해답을 얻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8.05
꾸준함만 있다면 지방에서 더 많은 기회를 찾을 수도 있어요. 창업을 준비하시는
분
들도 큰 무대만 고집하기보다 자기 주변의 지역부터 차근차근 쌓아올리듯 사업을 준비하는 것도 창업의 한 방법일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어요.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본 콘텐츠는 ... ...
케톤음료, 도핑검사 걱정없는 에너지원?
2016.08.01
0
분
간 사이클을 탄 결과 케톤에스테르가 포함된 음료를 마실 경우 평균 411미터 더 갔다. 30
분
에 20km 정도를 가므로 2퍼센트 정도 향상된 결과다. 경기라면 순위가 바뀔 수 있는 수준이다. 그렇다면 케톤음료는 어떻게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켰을까. 앉아 있거나 걷는 수준의 온화한 활동을 할 경우 ... ...
새 ‘단백질 구조’ 설계… 신개념 약물전달물질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4
지름이 24~40㎚(나노미터·1㎚는 10억
분
의 1m) 수준이다. 약물이나 유전물질 등을 넣기 충
분
한 크기다. 킹 교수는 “우리가 이번에 만든 단백질 구조체는 컴퓨터로 설계해 만든 단백질 구조체 중 크기가 가장 크다”며 “사용 목적에 맞게 설계가 가능한 만큼, 목표 지점에 정확하게 약물을 전달해 ... ...
규제 없는 시장이 열대바다 물고기 씨 말리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4
- 네이처 제공 연구팀은 전 세계 46개국 2514곳의 산호초 지대를 대상으로 조사와
분
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물고기 양을 줄이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주변 수산물 시장의 크기’였다. 시장이 크고 경쟁이 심할수록 사람들이 물고기를 많이 잡았다. 연구진은 “지속가능한 어획을 ... ...
형제자매는 라이벌인가?
2016.07.23
가끔은 고개를 들어 사물을 그대로 보는 자세도 필요합니다. 대상을 온전히 바라보면
분
석한 내용을 종합할 수 있는 통찰력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시인의 눈으로 일상을 바라보는 ‘생활의 시선’을 매주 연재합니다. 편안한 자세로 천천히 읽으면서 감정의 움직임을 ... ...
[타운이 만난 사람들-멘토편] 주말도 마다않는 열혈 멘토, 이준석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6.07.15
개방화된 지식 기부 플랫폼이라고 하지만 저의 부족한 지식이나 경험 등이 다른
분
에게 조금이나마 의미가 있다는 것에 자부심을 가지고 좀 더 나은 멘토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석 멘토, 2014년 창조경제타운 우수멘토 선정 - 창조경제타운 제공 *본 콘텐츠는 ... ...
자외선, 머리부터 발끝까지 차단이 필요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7.13
5
분
전에 바르고 2시간 간격으로 덧발라야 자외선 차단제는 외출 15
분
전에 발라 피부에 충
분
히 흡수시킨 뒤 나가야 효과적이다. 바른 직후 밖으로 나가면 햇볕에 증발해 효과가 떨어진다. 또 땀이나 옷으로 지워지기 때문에 2시간 간격으로 덧발라주는 것이 좋다. 외출 후에는 자외선 차단제가 피부에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6.07.10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 활성을 띤 머리 부
분
에 왼쪽과 오른쪽 2개로 구
분
한 광 자극의 주파수를 각각 1.5㎐, 3㎐처럼 서로 다르게 하면 가오리 로봇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주파수가 같을 경우 앞으로 전진한다. - 사이언스 제공 [☞기사 바로가기] 초소형 ‘가오리 로봇’ 웨이브 타며 ... ...
소수성-친수성, 두 가지 성질 동시에 갖는 신소재 개발
2016.07.03
평면구조를 이루는 원자의 개수가 달라 잘 맞아떨어지지 않고 3.2㎚(나노미터·1㎚는 10억
분
의 1m) 간격의 굴곡이 생겼다. 연구팀은 여기에 고압 전류를 흘려 표면의 굴곡이 사라지는 현상을 이용해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표면이 소수성이지만 전류가 흘러 표면이 매끄러워지면 친수성으로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