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전
움직임
이사
운동
양도
전위
전임
d라이브러리
"
이동
"(으)로 총 5,192건 검색되었습니다.
끝없는 도전의 산물 NASA 우주복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작업할 때도 우주인들이 팔과 손에 피로를 느끼지 않는다. ISS의 차가운 손잡이를 잡고
이동
하다 보면 손가락의 열을 빼앗길 수 있기 때문에 장갑 속에는 따뜻한 히터도 설치돼 있다. 또 EMU의 몸통 부분과 두 팔을 연결한 부분에는 베어링을 달아서 가압상태에서도 어깨와 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 ...
학습과 놀이의 절묘한 만남 기능성 게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을 개발했다. 박테리아에 감염된 환자 정보가 주어지면 캡슐형‘미니 잠수함’을 타고
이동
하다가 혈관 내벽에 기생하는 박테리아를 박멸하는 게임이다. 3차원 구조로 된 혈관 내부를 탐험하며 세포의 구조와 원리를 공부하게 된다. 면역공격의 프로그램 관리자인 미국과학자연맹의 멜라니 ...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무리를 짓는 놀랄 만한 광경이 펼쳐졌다. 마치 여러 대의 기차가 한꺼번에 몰려서
이동
하는 듯했다. 큰 무리는 정자가 최대 100마리나 됐다. 무어 교수는 무리를 이루는 정자들이 그렇지 않은 정자들보다 훨씬 빠르게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혼자일 때보다 무리일 때 유영속도가 50%나 더 빨랐다.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계산’에 대한 기대감도 숨기지 않는다. 양자 계산이 실현되면 SF의 단골주제인 ‘순간
이동
’이 가능해지면서 얼마든지 먼 우주여행이 가능해질 수 있다는 것이 최 교수의 설명이다.이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슈퍼컴퓨팅본부 응용지원실장은 ‘거시의 상상력과 미시의 상상력’으로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어디로 보는 것인지 모를 만큼 매우 복잡했다. 김 교수가 빛을 발생하는 레이저, 빛을
이동
시키는 광섬유, 빛을 반사하거나 회절시키는 각종 렌즈와 미세한 구멍들을 설명해줬다. 복잡하고 정교한 부품들을 보니 왜 정보통신공학과에서 현미경을 만드는지 충분히 이해가 되기 시작했다.살아 있는 ... ...
감각이 일어나는 경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전달한다. E신경에 문제가 있는 경우, 무릎에 자극이 오면 신호는 반사궁의 경로를 따라
이동
하지 못해 무릎반사 행동을 보이지 못할 것이다. 또 환자는 스스로 다리를 움직일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B신경으로 신호가 전달돼 대뇌에는 신호가 도달하고 환자는 의사가 무릎을 쳤는지 알 수 있다. 이를 ... ...
내 몸 안에 수학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방귀 소리는 가스를 밀어내는 속도에 따라 높낮이가 달라지는 셈이다. 먼저 가스가
이동
하는 공간의 넓이가 넓으면 가스의 속도는 느려진다. 속도가 느리면 진동하는 횟수가 적어서 낮은 소리가 난다. 힘을 줘서 항문을 좁히고 빠르게 밀어내면 가스의 속도가 빨라져서 진동하는 횟수도 늘어 높은 ... ...
구름을 타고 날아라~! - 서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태양열로 덥혀질 때나 찬 공기가 더운 공기 밑을 파고 들 때, 더운 공기가 찬 공기쪽으로
이동
할 때에도 위로 올라가지요. 공기 덩어리가 높은 곳으로 올라가면 고무풍선이 부풀듯이 점점 그 부피가 늘어나요. 부피가 커진다는 것은 같은 양의 공기 알갱이들이 훨씬 넓어진 공간을 돌아다니는 것을 ... ...
“여기는 아라온호, 남극 대륙이 눈앞에 보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대륙까지 가는 데는 두께 2m 미만의 얼음층을 400km나 뚫고 가야 한다. 시속 5km 속도로
이동
하면 3일 정도 걸린다. 남극 대륙의 첫 번째 목적지인 케이프벅스 앞바다에는 다행히 얼음이 없다.”●처음으로 쇄빙 항해를 하게 되는데 어려움은 없나.“안전한 항해를 하기 위해 하루에 한 번씩 팀마다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대기의 산소가 줄어들어서 숨쉬기조차 버거워. 하지만 우리는 계속해서 북쪽으로
이동
해야 한단다. 온대지방은 대부분 사막으로 변했고, 열대지방의 햇볕은 너무 강렬해 사람이 살 수가 없거든. 마치 햇볕이 살을 뚫고 들어오는 것 같단다.“삐오삐오~!”이런, 멧돼지 떼가 마을을 습격했다는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