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카시니호가 보내온 토성 사진 퍼레이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드러낸 타이탄 토성으로의 접근이 막바지에 접어들던 6월 카시니호가 포착한 위성 피비.
표면
에 크고 작은 규모의 크레이터가 많이 보인다. 피비는 태양계 밖의 혜성과 같은 물체가 태양계 형성 초창기에 유입돼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카시니호가 보내온 토성 사진 ... ...
물에어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물을 뿌렸을 때 그 안에서 물이 뭉쳐 증발하지 못하게 된다. 연구팀은 알루미늄 판
표면
에 코팅을 해서 물이 얇게 퍼져 잘 증발할 수 있게 만들었다.물 에어컨 바람 평균 22℃ 연구팀은 먼저 슈퍼제습폴리머를 사용하지 않은 물 에어컨 시제품 ‘위즈 쿨’(Whiz cool)을 개발했다. 2001년 6-9월의 실제 기온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어떨까? 성운이 대형이어서 맨눈보다 오히려 더 보이지 않는다. 성운의
표면
밝기가 매우 낮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구경 망원경에 경험이 풍부한 관측가라면 북아메리카 동부해안지역의 멕시코만에서 시작해 펠리칸성운까지 뻗어 내려간 성운들의 복합적인 구조를 어렴풋이 확인할 수 있다 ... ...
카시니가 보내온 토성 위성 포이베의 모습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번에 카시니호가 찍은 포이베는 너무나도 선명해 수많은 크레이터가 촘촘히 박혀있는
표면
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천문학자들은 이를 통해 포이베의 미스터리가 풀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전의 포이베의 모습은 1981년 NASA의 보이저2호가 토성 근처를 스쳐지나가면서 2백20만km 떨어진 ... ...
터치스크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모니터
표면
을 눌렀을 때 발생하는 물리적 변화를 측정해 정보를 입력하는 새로운 방식의 입력장치다. 무엇보다 터치스크린의 가장 큰 특징은 정보를 입력하기 쉽다는 것. 화면 위에 손이나 펜을 대고 직접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려 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편리함 때문에 휴대용 전자제품,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때문이다. 대기와 바닷물을 비교해보면 지구 대기가 간직하고 있는 전체 열은 바닷물
표면
에서 수m에 불과하다고 한다. 또한 1년간 지구가 받는 태양열로 바닷물의 온도는 고작 1℃밖에 오르지 않는다. 바다는 열 저장고인 것이다.미래에 급작스런 기후변화가 닥칠지 예측할 수 있을까? 현재의 ... ...
공동실험 연구의 새 패러다임 원격실험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표면
의 미세조직과 입체 구조를 관찰하는데 사용된다. 평평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종이
표면
이 울퉁불퉁한 조직으로 이뤄져 있고, 파리의 눈이 마치 해바라기 씨처럼 보이자 학생들의 입에선 절로 감탄사가 나왔다.그런데 파리의 눈을 관찰하는 학생들 앞에 놓인 것은 전자현미경이 아니었다. 교실 ... ...
자존심의 승리인가, 무모한 도박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죽는 사고가 일어나기도 했다.아폴로 11호의 귀환 역시 요행의 산물이었다. 이글호가 달
표면
에 착륙하기 직전 착륙선에 남아 있던 연료는 30초분이 채 안되는 것이었다. 만약 조금이라도 착륙 시간이 지연됐다면 암스트롱과 알드린은 달에 영원히 남아있어야 했는지도 모른다. 이처럼 아폴로 계획은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전기활동이 일어나는 인체 부위이자 생명유지에 없어서는 안될 뇌에 주목했다. 대뇌
표면
을 둘러싸고 있는 피질에는 약 1백억개 이상의 신경세포가 연결돼 신경망을 형성하고 있다. 각 신경세포에서 발생한 전기신호가 신경망을 통해 다른 신경세포에 전달되면서 그 주변에 자기장이 만들어진다 ... ...
10억분의 1m 속의 비밀정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제작됐다. 6월 22일자 BBC 인터넷판은 영국 케임브리지대 나노기술센터 연구팀이 실리콘
표면
에 작은 물방울 액체상태인 메탈갈륨을 부어 키운 nm(나노미터, 1nm=${10}^{-9}$m) 크기의 이들 모형을 소개했다.이 꽃은 작은 메탈갈륨 물방울들이 메탄을 함유한 가스에 반응하며 생성한 미세한 실리콘 탄화물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