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자"(으)로 총 3,4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내 발굴 유전자 ‘삼돌이’, 자폐증 원인 규명에 한 발 다가서동아사이언스 l2018.01.31
- 점이 무엇일까요. >> 큰 분류에서는 모두 사이토카인이며, 삼돌이와 인터루킨은 다시 분자량이 작은 키모카인 (chemokine)으로 분류됩니다. 세부구조에 따라 다시 여러 소분류로 나뉘게 됩니다. 인터루킨이 대부분 면역계에서 역할을 하는 반면, 삼돌이는 뇌와 신경계에서만 발현하므로 신경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물을 잘 머금고 설탕이라면 쉽게 분해되는 고온이나 산성 등의 악조건에서도 안정한 분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트레할로스는 안구건조증을 완화하는 눈약이나 보습크림 등 약품이나 화장품에 쓰이는 유용한 원료다. 물론 식품업계도 트레할로스를 쓰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지만 킬로그램 당 70 ... ...
- 치매로 이어지는 헌팅턴병 초기 발생과정 밝혔다동아사이언스 l2018.01.29
- 연구가 최초로 나왔다. 지지부진했던 치료법 개발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미국 록펠러대 분자발생학실험실 알리 브리반로우 교수팀이 인간 배아 줄기 세포를 이용해 헌팅턴병을 일으키는 돌연변이 유전자가 세포분열할 때 여러 개의 핵을 가진 세포를 탄생시켜 주변 신경을 파괴한다는 것을 발견 ... ...
- [짬짜면 과학 교실] 물질의 상태, 마음의 상태2018.01.27
- 물질의 최소 단위는 분자나 원자여서 맨눈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 원자나 분자가 모여 이룬 물질은 고체이거나 액체이거나 기체 ‘상태’로 되어 있어서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의 몸도 이 세 가지 상태의 물질로 이뤄져 있습니다. 살, 뼈, 내장, 뇌, 털, 손발톱 등은 고체 ... ...
- 개기월식 때 달이 빨갛게 변하는 이유는?2018.01.26
- 이유는 ‘레일리 산란(Rayleigh scattering)’ 때문입니다. 이는 빛의 파장보다 훨씬 더 작은 분자나 입자들에 의한 산란을 말하는데요. 지구의 대기로 들어오는 햇빛은 여러 가스 및 물방울, 먼지 등의 입자에 부딪치며 흩어지게 됩니다. 이때 보라색이나 파란색처럼 파장이 짧은 빛은 산란이 되는 반면에 ... ...
- 독감 바이러스의 강력한 변신과학동아 l2018.01.26
- 구조를 각각 분석했다. 그 결과 바이러스가 표면 항원인 헤마글루티닌(H)에 새로운 당 분자를 추가해 숙주와의 결합력은 높이고, 항체와의 결합력은 낮추는 영리한 돌연변이를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위 그림).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효과적인 독감 백신을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 ...
- 정보를 모두 일로 변환! 효율 98% 정보 엔진 구현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01.25
- 위치 정보를 읽고, 판별해 광학집게 위치를 조절(피드백) 한다. 맥스웰의 도깨비는 분자의 위치와 속도를 측정하고, 조건에 맞으면 문을 연(피드백)다.-기초과학연구원 제공 연구팀은 이론상의 맥스웰의 도깨비를 실험으로 구현했다. 먼저 정보를 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주어진 온도에서 무작위한 ... ...
- 식품용기 속에 낀 ‘세균 때’ 플라스마로 없애 드립니다동아사이언스 l2018.01.24
- 미생물막을 25% 제거해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오존(14%)과 아질산이온(11%), 물분자에서 수소가 하나 떨어진 이온인 수산기(10%)가 뒤를 이었다. 특히 수산기는 다른 이온의 0.01~1% 정도에 불과한 적은 양만 발생했는데도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대기압 플라즈마 적용 개념도 및 발생 물질 별 평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2018.01.23
- 섞이게 되면 배당체가수분해효소가 인디칸을 인독실로 분해한다. 뒤이어 인독실 두 분자가 만나 류코인디고가 만들어지고 이게 인디고로 산화하면서 짙은 청색, 즉 남색을 띄게 된다. 무지개색 빨주노초파남보의 ‘남(藍)’이 영어로 indigo다. 식물은 아미노산 트립토판을 원료로 해서 인돌을 거쳐 ... ...
- [표지로 읽는 과학]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RNA 중합 효소의 모습동아사이언스 l2018.01.21
- 뒤보쉐 스위스 로잔공대 교수, 요아킴 프랭크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 리처드 헨더스 영국 분자생물학MRC실험실 프로그램 리더가 극저온전자현미경을 개발하고 발전시킨 공로로 수상했다. ☞ Alessandro Vannini(2017), Structural basis of RNA polymerase III transcription initiation, Nature 553, 301–306 doi:10.1038/nature25441 ☞ ... ...
이전2582592602612622632642652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