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늪
연못
굳은살
징
호수
핀
머리핀
d라이브러리
"
못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벽에 부딪친 초전도 연구에 돌파구 제시한 고려대 최동식 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높고 임계전류도 많이 흐를 수 있고 임계자장도 커야 되겠지요.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
합니다. 결국 필요에 따라 높일 수 있는 부분만 높여 사용하면 된다는 뜻이지요. 전류를 송전하는 전선에 초전도체를 사용하려면 임계전류가 높고 임계온도가 높으면 되지 임계자장까지 높을 필요는 없다는 ... ...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없었더라면 현대 우주론이 성립되지
못
했을 것이며 나아가 새롭게 발전할 기회도 갖지
못
했을 것이라는 판단도 가능하다.최근의 여러 이론들은 어디까지나 초기의 우주에 대해서 불명확한 관계 때문에 도입된 것이며 초기 이후의 우주는 어디까지나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한 프리드만 ... ...
'컴퓨터 식탁'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윈도우용 응용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빈 줄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의 리포트는 이제 워드프로세서
못
지않은 놀라운 표현 도구로서 자리를 잡았다.윈도우용 데이터베이스가 갖는 장점은 이 밖에도 무수히 많은데, 한가지만 더 꼽자면 다른 프로그램과의 유연한 연결성을 들 수 있다. 윈도우의 멀티태스킹 능력과 ... ...
(1) '절대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 물리학 근본 뒤엎어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있는 것이 아니고 문제는 그보다 더 근원적인, 즉 우리가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잘
못
이해하고 있는 데서 온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 것이다.여기에서 아인슈타인의 천재성이 빛을 발한다. 그의 직관은 맞았다. 이들 상호모순은 우리가 시간과 공간의 속성을 제대로 이해하면 모두 사라지는 것이다. ... ...
아이 엎어 재우면 돌연사 위험 크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설명이 불가능한 갑작스런 아이의 죽음' 유아돌연사. 사후 부검을 해도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던 이 증후군이 잠잘 때의 자세와 관계가 깊다는 보고가 나왔다.얼굴을 ... 책임을 져야 한다"며 "작은 모집단의 연구 결과에서 얻은 결과를 전체에 추정해 적용하는 것은 잘
못
"이라고 말했다 ... ...
백령도의 조류와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확실하게 동정하기 어려운 식물을 가능한 한 채집했다. ■ 넷째날일기가 고르지
못
한 탓에 원래 예정대로 토요일 귀환하려던 계획을 이틀 앞당기기로 했다. 그래서 오전에 좌담회를 갖고 오후에 백령도를 떠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오전 9시가 돼도 인천에서는 배가 뜨지 않았다는 소식뿐이었다. ... ...
잠과 건강, 신비의 관계 벗겨진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더 많은 해를 끼칠 수도 있다. 그리고 에이즈 환자의 경우 정상적인 수면을 취하지
못
해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김으로써 낮 동안에도 기운을 차릴 수 없게 된다.최근 에이즈 환자와 잠을 주제로 한 연구를 주로 해온 캘리포니아주 스크립스 임상연구재단의 신경정신과 의사인 데니스 다르코 박사에 ... ...
생물- 신경세포 3백억개 모인 거대한 정보처리용 컴퓨터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의료진을 경악케 했다. 9시간 뒤 정신을 차린 이 남자는 "12년전 심한 우울증에 빠져
못
을 박는 총으로 양눈 사이를 쏴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 ...
산성비가 몰려오고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있다. 특히 금속이 가장 심하게 부식되며 가죽 고무 섬유제품이 쉽게 변색되거나 삭아서
못
쓰게 된 사례도 보고되고 있어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도 클 것으로 본다. 우리나라의 산성비 현황 우리나라에서는 1983년부터 환경처에서 전국의 주요 도시지역 56개소에 산성우측정망을 구성해 산성비를 ... ...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이것은 학술을 떠나서라면, 그리고 분명히 자국산의 개체에 대해서라면 크게 잘
못
된 것은 아닐 것이다.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조선호랑이나 한국호랑이라기 보다는 백두산호랑이, 또는 금강산호랑이라고 부르는 관습이 있다. 백두산에서부터 뻗어내려 금강산을 거치는 국토의 척추산맥에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