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잠깐만요!] 위태위태 눈조각 무너지지 않은 이유는?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점을 빼면 자유도가 생겨서 끝없이 쭉쭉 늘어뜨릴 수 있는거예요. 같은 식으로 점 3개를 찍은 도넛은 코스타 극소곡면이 돼요. 어렵다고요? 상상해 보세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 모형의 마법, 눈결정Part 1. 하늘에서 내려온 보석, 눈결정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 ...
- Part 3. 반 고흐의 그림을 추적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붉은색이 강해졌답니다. 반 고흐가 그림을 그린 시간을 알아내다!고흐는 2000점이 넘는 그림을 남겼어요. 대부분은 고흐가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언제 그렸는지 밝혀졌지요. 그런데 유독 한 그림에 관해서는 설명이 남아 있지 않았어요. 이 그림은 밀밭을 중심으로 산과 둥근 천체를 ... ...
- [과학뉴스] DNA 대신 치아로 성별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단백질이 성염색체의 영향으로 남녀에 따라 아미노산 구성이 다르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전까지는 화석이나 오래된 사체의 성별을 파악할 때 DNA를 추출했는데, 오래된 시신일수록 DNA가 손상돼 있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법랑질은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부위로 수천 년이 지나도 부식이 거의 없다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발병 원인의 90% 이상이 흡연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식과 관련해 유해한 미생물 점수가 높았던 기자에게 이 소장은 “침구를 자주 청소하는것이 좋다”고 제안했다.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서비스는 자신의 유전체와 미생물 정보를 활용해 건강을 관리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시대가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연구자들은 줄기세포를 이용해 장 세포, 위 세포 등을 만들었고, 이 과정에서 세포수가 점차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장기의 형태를 띤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위 세포를 배양했더니 위와 비슷하게 성장한 것이다. 실제로 다카베 다카노리 일본 요코하마시립대 교수는 2013년 유도만능줄기세포를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가량 진행됐다. 숭례문을 복원할 때 사용한 새로운 부재들도 수십 년 뒤 보수가 필요한 시점이 올 것이다. 이때 보존처리를 한 옛부재가 다시 쓰일 수 있다. 부재의 이력관리가 중요한 이유다. 연구팀은 숭례문의 다음 순서로 최근 나주 불회사 대웅전(보물 제1310호)의 부재 보존 작업에 들어갔다. 201 ...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큰 하이드로겔을 개발한 연구팀이 분자기계를 이용해 부피 변화에서 오는 충격을 줄인 점이 눈에 띄었다. 이 연구에서 영감을 받은 최 교수는 로탁세인을 음극 소재에 적용했다. 최 교수는 “연구를 하다 보면 자신의 분야에만 갇혀 다른 분야를 보기 어려울 때가 있다”며 “항상 다른 사람은 ... ...
- 학생부의 의미와 중요성, ‘학종’ 선발 왜 늘어나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교과를 선택하고 강의실을 다니며 수업을 듣는 방식인 과목선택제를 토대로, 일정 학점을 들으면 졸업을 할 수 있는 제도다. 진로와 적성에 따라 수업을 선택해서 들을 수 있다. 이런 변화에 따라 앞으로 고교생들은 교과서에 있는 내용을 이해하고 암기하는 것을 넘어, 그것에 대해 질문하고 ... ...
- 위대한 수학자의 발자국, 괴팅겐을 걷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사람이 거의 없었어요. 외국의 도서관이라고 해서 우리나라 도서관과 크게 다른 점은 없었어요. 다만 그 건물 안에는 과거에 썼던 수학 도구가 많아서 신기했어요. 오래된 물건을 잘 보존하고 있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 한밤의 레이저 쇼!괴팅겐에서는 매일 밤마다 레이저 쇼가 펼쳐진다고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우주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다는 ‘정상우주론’을 믿었어요. 그래서 우주가 특이한 한 점에서 대폭발을 하며 탄생했다는 것을 믿지 못했지요. 그 중 대표적인 과학자가 영국의 천문학자 ‘프레드 호일’이었어요. 호일은 BBC 방송에 출연해 가모브의 이론에 대해 “어느 날 갑자기 우주가 ‘뻥 ... ...
이전2592602612622632642652662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