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는 14분의 1, 표면적(L²)은 196분의 1, 부피(L³)는 2744분의 1의 비율로 변한다. 열에너지의 관점에서 만들어내야 할 에너지는 2744분의 1로 줄어드는데, 피부를 통해 발산되는 에너지는 196분의 1이 된다. 몸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보다 체외로 발산되는 에너지가 14배 더 많다는 뜻이다. 이렇게 되면 체온 ... ...
- [종목6] 아이스하키, 선수 위치 실시간 분석 ‘ 언더독의 반란’ 꿈꾼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물리학[종목6] 아이스하키, 선수 위치 실시간 분석 ‘ 언더독의 반란’ 꿈꾼다[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 ...
- [Future] 그림이 열일 하는 메디컬 일러스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전까지 그림으로 봤던 모습과 많이 달랐다”고 회상했다. 메디컬 일러스트 한 점을 그리는 데에는 아무리 간단한 그림도 최소 3시간 이상 걸린다. 내용에 따라 한 달 이상 걸리는 경우도 있다. 사람의 목숨이 달려 있어 경각을 다투는 수술실에서 이렇게 오랫동안 스케치를 하기는 불가능하다. ... ...
- [과학뉴스] 공룡 피 빨아먹는 진드기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연구팀은 이와 비슷한 화석을 발견했어요. 모기 대신 진드기였다는 점만 달랐지요. 연구팀은 미얀마에서 약 9900만 년 전 백악기 시대의 호박 화석을 발견했어요. 이 화석을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분석한 결과, 공룡 깃털과 여러 마리의 진드기를 발견했지요. 화석에는 공룡의 ... ...
- Part 1. 로봇들의 겨울 축제, 스키 로봇 챌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위해 세운 깃발. 이번 대회의 가장 큰 특징은 ‘사람이 로봇을 조종할 수 없다’는 점이에요. 즉, 시합이 시작되면 로봇은 모든 동작을 스스로 해야 돼요. 기문의 위치를 파악하고, 가장 빠른 코스를 정하고, 몸을 움직여서 방향을 돌리거나 균형을 잡는 것도 모두 알아서 해야 하지요. 심지어 로봇이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under our feet. 비록 지진은 큰 재난이지만, 지구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게 도와준다는 점에서는 유용하다. 최근 미국 프린스턴대와 오크리지국립연구소 연구팀은 2800km 깊이의 지구 내부를 형상화 한 3차원 지도를 구축했다. 지진에서 방출되는 탄성파의 속도가 매질의 조성과 밀도, 온도 등에 따라 ... ...
- [종목5] 컬링, ‘ 빙판 위의 체스’ 돕는 얼음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물리학[종목6] 아이스하키, 선수 위치 실시간 분석 ‘ 언더독의 반란’ 꿈꾼다[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 ...
- [Issue] 내 잉크가 너의 숨을 쉬게 하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포집하는 방식을 쓰는데, 공정이 복잡해 효율성이 떨어지고 생산 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개발도상국에서 자동차마다 이 장치를 부착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는 물에 녹이는 대신 정전기로 오염물질을 끌어당겨 포집하는 방법을 떠올렸다. 배기가스가 배출될 때 정전기를 발생시켜 ... ...
- [Origin] 지구온난화 주범 vs. 청정에너지 진흙화산의 두 얼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보퍼트 해, 척치 해, 동시베리아 해에서 북극 해저 탐사를 계속하고 있다. 2017년 9월 13일, 점차 다가오는 바다얼음 무리를 뒤로 하고 아라온호는 탐사 지역을 떠났다. 이번 탐사에서 얻은 진흙화산에 대한 새로운 숙제들의 해답을 찾기 위해 2019년 연구팀은 다시 보퍼트 해를 찾을 것이다. 진영근_ykjin ...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불하는 데 동의했습니다. ‘오가노이드 바이오뱅크’ 구축오가노이드의 또 다른 장점은 냉동기술을 이용하면 반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많은 환자들로부터 얻은 오가노이드를 저장해 ‘바이오뱅크’를 만들 수 있는 셈이죠. 동일한 질병이라도 그 원인은 다양합니다. 대장암의 ... ...
이전2562572582592602612622632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