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짝반짝 작은 별~♬, 케플러의 별 만들기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와~! 아빠, 이렇게 큰 별자리 지구본은 어디서 구하셨어요?”“하나랑 두리랑 겨울 별자리 보려고 이 아빠가 큰 맘 먹고 준비했지. 하하!망원경으로 ... 3년 프랑스의 수학자 코시는 오목한 정다면체가 더 이상 없다는 사실을 증명해, 정다면체를 찾는 수학자들의 노력에 종지부를 찍었다 ... ...
- 괴짜 수학자, 농담도 잘 하셔!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웃기면 웃길수록 뇌의 반응은 더 선명하게 나타났다니까!뭐야? 말하고 보니 이러다간 수학자들의 농담에 개그맨들이 밀리겠잖아? 빨리 비상대책위원회를 소집해야겠어! 뭐어~? 10분 안에 언제 어디서 비상대책위원회를 소집하냐고? 뭐어~? 10분 안에 소집하지 않으면 폭파시키겠다고? 야, 안 돼~ ...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입자인 W보손과 Z보손을 발견한 공로로 1984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이탈리아의 핵물리학자 카를로 루비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박사가 10년에 걸쳐 연구한 끝에 토륨 원전의 상용화 가능성을 밝혀냈기 때문이다.토륨 원전에 이용하는 것은 원자가가 232인 토륨-232 동위원소다(자연계에 존재하는 ... ...
- 사랑을 찾는 동식물의 예술작품과학동아 l2012년 02호
- 귤류는 자연적으로 또는 인공적으로 합성이 잘 되기 때문에 종이 무수히 많다. 그래서 학자마다 귤류로 인정하는 종의 범위가 크게 다르다.다른 열대과일 도감과 달리 이 책은 저자가 한국인이기 때문에 한라봉과 청견처럼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고, 어떻게 다른지 궁금한 과일에 대해서도 ... ...
- 원시인은 식인종?과학동아 l2012년 02호
- 그 후 유럽의 식민지 쟁탈전이 전개되면서 식민 세력의 선두로 파견된 선교사들과 인류학자들은 가는 곳마다 식인종의 이야기를 수집하고 기록해 논문과 책, 잡지 기사로 출판했습니다. 식인 풍습은 곧 미개인의 대명사가 됐지요.그런데 20세기 후반 이 기록과 책을 꼼꼼히 살펴보자 얘기가 ... ...
- 미션 임파서블! 월-E의 큐브 대작전수학동아 l2012년 02호
- 구멍이 뚫린 도형이 완성된다. 이것이 멩거스펀지다.멩거스펀지는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칼 멩거가 1926년 만든 도형으로, 표면적은 무한대(∞)이며, 부피는 0에 가까워진다. 어떻게 멩거스펀지의 표면적이 무한히 커지고 부피가 한없이 작아지는지 지금부터 수학적으로 따져 보자. 월-E에 나오는 ...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수 없다. 오히려 지구 인구가 100억을 돌파할 수 있을지 여부조차불투명한 실정이다. 학자들 중에는 인류가 지구에 끼치는 지질학적, 기후학적 영향이 엄청나기 때문에 현대를 ‘인류세’라는 다른 지질시대로 구분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인류세라는 말은 폴 크루첸 독일 막스플랑크 화학연구소 ...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보내 의학 발전에 공헌하고 있다. 최근에는 화성에서 태어나는 아이들이 늘어나면서 과학자들이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처음부터 화성에서 태어나 자란 아이들이 제공할 자료는 저중력이 인체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반면, 몸이 불편한 노인들은 화성의 낮은 중력이 ... ...
- 사해, 12만 년 전 완전히 말랐었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설명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평가됐다.이스라엘과 미국, 일본 등 지질학자들로 구성된 국제 연구진은 사해 밑바닥에서 지질학적 역사를 확인할 수 있는 퇴적층을 분석해 지난 12월 초 미국 지구물리학연맹(AGU) 연례회의에서 발표했다.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해 퇴적층이 과거에 수차례 ...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온 지식의 승리인 셈이다. 입자 물리학 용어만 들어도 어려워하는 일반인들에게는 과학자들이 우리가 사는 세상을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다고 신뢰할 수 있는 증거가 된다.마지막 퍼즐을 찾아 표준모형을 완성해도 숙제는 남는다. 암흑물질이나 중성미자의 질량은 표준모형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 ...
이전2592602612622632642652662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