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의 DMZ에서 독수리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지어 앉아 있었다. 얼마나 큰지 마치 사람이 등을 돌리고 앉아 있는 것 같았다. 이미 조류
학자
여러 명이 망원렌즈를 들고 숨을 죽인 채 사진을 찍고 있었다.철새 탐사팀도 이곳에 망원경을 설치했다. 앉아 있는 독수리는 물론 하늘 높이 떠 있는 것도 자세히 관찰할 수 있었다. 어깨에 하얀 번호표가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꿈꾼다. 혜준 학생 역시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자랑스럽다고 말하며 웃었다. 경제
학자
가 되고 싶은 장서호 학생 역시 그렇다. 과학을 좋아해서 이 곳에 왔다. 그야말로 융합형 인재들의 집합소다.[❶ 열기구 안의 공기를 데워 시험한다. ❷ 자동차 항공기연구반이 모였다. ❸ 학생들이 직접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들어 책을 구입하는 농민도 있었습니다.”누군가 자신을 두고 ‘잡초 같이 사는 잡초
학자
’라고 말했다며 웃던 강 교수는 잡초는 상황에 따른 말일 뿐이라고 강조한다. 즉 벼는 작물이지만 국화밭에 벼가 있으면 벼도 잡초라는 것.“Pflanzen haben keinen Sonntag!(식물에게는 일요일이 없다)”독일 유학 ... ...
내 우주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더 큰 혜성의 꼬리에 감탄을 하며 햐쿠타케 혜성을 감상하였다.나는 공상의 왕나는 천문
학자
지만 사실 별 볼일이 별로 없다. 내 연구가 대부분 이론에 대한 것이기도 하지만, 내가 눈에 보이는 것 보다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 더 관심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다. 대학 때는 하도 공상을 많이 해 나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수 없다. 오히려 지구 인구가 100억을 돌파할 수 있을지 여부조차불투명한 실정이다.
학자
들 중에는 인류가 지구에 끼치는 지질학적, 기후학적 영향이 엄청나기 때문에 현대를 ‘인류세’라는 다른 지질시대로 구분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인류세라는 말은 폴 크루첸 독일 막스플랑크 화학연구소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보내 의학 발전에 공헌하고 있다. 최근에는 화성에서 태어나는 아이들이 늘어나면서 과
학자
들이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처음부터 화성에서 태어나 자란 아이들이 제공할 자료는 저중력이 인체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반면, 몸이 불편한 노인들은 화성의 낮은 중력이 ... ...
사해, 12만 년 전 완전히 말랐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설명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평가됐다.이스라엘과 미국, 일본 등 지질
학자
들로 구성된 국제 연구진은 사해 밑바닥에서 지질학적 역사를 확인할 수 있는 퇴적층을 분석해 지난 12월 초 미국 지구물리학연맹(AGU) 연례회의에서 발표했다.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해 퇴적층이 과거에 수차례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있는 장기’를 만들겠다는 발칙한 연구를 하는 과
학자
도 있다. 미국 미주리대 생물물리
학자
인 가보 포르가츠 박사는 2006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국제실험생물학회에서 “지름이 수백 ㎛(마이크로 미터, 100만분의 1m)인 세포를 겹겹이 쌓아 압축하면 심장이나 간을 만들 수 있다”고 발표했다. ... ...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그 이름이 붙어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 제대로 된 골격 화석이 발견되기를 많은
학자
들이 바라고 있다.그러던 차에 기쁜 소식이 들려왔다. 한참 영화를 만들고 있던 2010년 11월 전남대 한국공룡연구센터(소장 허민)는 백악기 후기 한반도에살았던 토종 공룡을 7년간의 발굴과 연구, 복원작업 끝에 ...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책 한 권이 떨어졌어. 제목이 ‘본초강목…?’ 이건 중국 명나라 때 이시진이라는
학자
가 쓴 책 아냐? 그런데 이게 용이랑 무슨 관계라는 거지? 알고 보니 본초강목에는 용이 아홉 가지 동물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적혀 있잖아. 대~박! 이러다가 정말 용이 진짜로 나타나는 거 아냐? 그런데 용은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