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DNA를 부모에게서 절반씩 물려받는다는 건 다시 말해 부모-자식 관계가 성립되려면 둘
사이
에 상염색체 DNA 일치율이 50%가 돼야한다는 말이다. 만약 변사자의 DNA와 변사자의 어머니로 추정되는 사람의 DNA가 25%만 일치한다면 이 둘은 모자 혹은 모녀 관계라고 할 수 없다.DNA 일치율 : 전체 염기 서열을 ... ...
[Knowledge] 서열 사라진 사회에서 태어난 지상 낙원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성적 행위를 악수나 포옹만큼 일상적으로한다. 독특한 건, 암컷들간의 성적 행동이 암수
사이
의 행위보다 훨씬 잦다는 점이다. 보노보 사회가 암컷 위주의 사회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런 행동 자체가 서로를 알아가고 관계를 만들어 가는 방법이자, 신뢰를 표현하는 의사소통의 방식이라고 추정할 수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364). 그렇다면 이 자기장을 이용해 방향과 위치를 알 수 있을까. 지난 6월 과학잡지 ‘
사이
언스’는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지리 및 행성학과 조세프 커슈빙크 교수가 영국왕립학회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doi: 10.1126/science.aaf5803). 커슈빙크 교수는 알루미늄 벽에 코일을 넣어 인위적으로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비둘기는 생체자석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동물이에요. 비둘기는 머리뼈와 뇌
사이
에 자성을 띠고 있는 자철석을 가지고 있어서 지구 자기장을 감지해서 방향을 알아낼 수 있어요. 실제로 비둘기의 몸에 자석을 붙여 지구 자기장을 감지하지 못하게 하면 집을 잘 찾지 못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지요 ... ...
[수학뉴스] 내 수학 점수는 아빠 때문?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발달 과학’ 8월 6일자에 밝혔습니다.연구팀은 5세에서 8세
사이
어린이 54명과 이들의 부모 51명에게 4가지 영역의 수학 능력 검사를 했습니다. 짧은 순간에 물건의 개수를 파악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어림수 파악 능력 검사와 정해진 시간에 최대한 많이 푸는 사칙 연산 문제,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정의된 천 수는 항상 정수 값을 갖는다. 사울리스 교수는 홀 전도도와 천 수
사이
의 관계식을 발견했다. 천수는 정수만 될 수 있기때문에 홀전도도 값이 연속된 실수가 아니고, 계단식으로 정수로만 나오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었다.[세 번째 연구] - 1차원도 마찬가지사울리스 교수가 2차원에 가까운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메모리 칩이며 여러 개를 연결하기에 편리한 것이 장점이다.이런 멤리스터가 신경세포
사이
에 위치한 시냅스 역할을 해서 적은 에너지로도 뇌의 전기적 신호를 저장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통로역할을 하게 된다.연구팀은 여러 개의 멤리스터를 연결한 뒤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있다. 분자기계가 처음부터 응용을 떠올리고 시작한 연구는 아니었다는 점이다. 분자
사이
의 약한 인력을 이용해 카테네인이나 로탁세인처럼 흥미로운 구조를 갖는 분자를 합성하려고 했던 연구는 순수한 지적 호기심에서 출발했다. 이 호기심은 인류의 미래를 바꿀지도 모르는 분자 기계의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만약 화성에 정말 거주를 하는 상황이 온다면 지하에 건축물을 짓고 그
사이
를 터널을 뚫어 연결할 것”이라며 “마치 개미굴 같은 형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NASA는 다양한 주거 형태를 고민하고 있다. 지난해 9월 말 NASA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화성의 건물 디자인을 공모했다. 165개 이상의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자연채광을 하겠다는 계획이다. 를 위해 도시의 중앙 부분은 뚫린 형태로 설계했고, 그
사이
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다리를 배치했다. 지상 입구는 강화유리로 덮어 태양빛이 들어오는 것은 물론 지하에서도 하늘을 올려다 볼 수 게 했고, 로라인과 유사한 형태의 공원 수십 개를 만들어 항상 깨한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