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정의된 천 수는 항상 정수 값을 갖는다. 사울리스 교수는 홀 전도도와 천 수 사이의 관계식을 발견했다. 천수는 정수만 될 수 있기때문에 홀전도도 값이 연속된 실수가 아니고, 계단식으로 정수로만 나오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었다.[세 번째 연구] - 1차원도 마찬가지사울리스 교수가 2차원에 가까운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아츠키 히가시야마 교수와 오사카대 인간과학대 코헤이 아다치 교수는 허리를 굽혀 다리 사이로 뒤를 바라보면 사물이 달라 보이는지 연구해 인식상이라는 독특한 분야를 개척(?)했다. 연구 결과, 실제로 몸의 방향이 바뀌면 사람이 인식하는 물체의 크기와 거리가 변했다(시각연구, 2006, 46(23), 3961-76) ... ...
- 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데 쓰인 연료를 대기 중에 배출시키지 않고 다시 연소실로 보내 재활용하는 다단연소사이클 방식을 이용한다. 이 역시 비추력을 높인 핵심 기술이다. 전체적으로 성능은 향상됐지만 기존의 기술에 기반한 것으로 완전히 새로운 기술은 아니다. NASA는 이미 여러 번 검증 받은 기술을 고수하겠다는 ...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DNA를 부모에게서 절반씩 물려받는다는 건 다시 말해 부모-자식 관계가 성립되려면 둘 사이에 상염색체 DNA 일치율이 50%가 돼야한다는 말이다. 만약 변사자의 DNA와 변사자의 어머니로 추정되는 사람의 DNA가 25%만 일치한다면 이 둘은 모자 혹은 모녀 관계라고 할 수 없다.DNA 일치율 : 전체 염기 서열을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아기를 낳아 기르기에 적절치 않은 환경일 수도 있다. 다트넬 교수는 “맞다. 웹사이트에 누군가가 이미 콘돔 이야기를 썼다”며 “콘돔은 특히 잘 늘어나니까 물을 보관하기에도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과학동아에서 콘돔의 신축성에 대해 읽은 한 어린이 독자가 엄마에게 콘돔에 물을 ... ...
- [Career] 상식 넘어선 도전, 빛나는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산화티타늄 위에 떨어뜨린 뒤 회전시키면서 코팅했다.그 결과 전자수송층과 활성층 사이에 쌍극자가 생기면서 전자가 이동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작아지고 전자 흐름이 좋아졌다. 이 소자를 태양전지로 사용하면 기존 태양전지보다 효율이 30% 증가했다. 또 발광소자로 활용할 때 휘도(밝기)는 ... ...
- Part 5. 초고속열차로 하나 되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km 길이의 보령 해저터널을 건설하고 있지요. 최근에는 미국 알래스카와 러시아 시베리아 사이의 85km의 베링해협을 연결하는 해저터널과 부산과 일본을 잇는 해저터널 건설도 논의되고 있답니다.# “우와! 빨리 초고속열차로 세계여행 하고 싶어~!”라고 말하려는데 엄마께서 다시 한 번 날 흔들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공간의 크기를 바꾸면 음의 높이를 바꿀 수 있어요. 이때 각 음을 정확히 내려면 음과 음 사이의 비율을 계산해야 하지요. 예를 들어 줄을 튕겨서 소리를 낼 경우, 줄의 길이 비가 2 : 3이 되면 도-솔처럼 5도 차이의 음을 만들 수 있답니다.실험 방법 하나. 냠냠~, 맛있는 연주! 당근 리코더원리리코더는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배터리는 크게 양극, 음극, 그리고 이 둘을 격리시키는 분리막으로 이뤄져 있다. 분리막 사이의 미세한 구멍으로 리튬이온이 이동하면서 전류를 발생시킨다. 배터리의 용량을 좌우하는건 양극과 음극이 얼마나 리튬이온을 많이 저장할 수 있느냐인데, 두 극을 이루는 물질(활물질)의 종류와 크기에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다른 사람의 감정에 대해 오해할 수도 있다.표정에 대한 시각적 착각에 관한 실험필립 사이킨스 교수팀이 실험에서 사용한 ‘닥터 앵그리와 미스터 스마일’ 사진.모두 똑같은 사진인데 큰 것은 웃는 모습으로, 작은 것은 화가 난 모습으로 보인다.뇌가 표정을 인지할 때 생김새뿐 아니라 색조와 ... ...
이전2612622632642652662672682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