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모세관으로 잉크가 술술 나오거든. 이번 시험 공부는 만년필로 하는 게 어때? 김호영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호기심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다 보면 재미있는 사실을 많이 알 수 있게 된답니다. 그러다 보면 친구들이 새로운 것을 발견하거나 밝혀낼 수도 있을 거예요.”펜으로 공부하자!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예술가의 눈으로 본 수학의 모습은 어떨까? 고대 그리스와 르네상스를 거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어쩌면 예술가의 수만큼 많았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런 가운데서도 수학과 예술은 함께 발전해 왔다.사고의 시작, 공리 최근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과 로비에 조각을 설치했다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은 일본의 테마파크 라그나시아에서 열렸던 전시를 서울로 옮겨 온 것으로, 애니메이션의 주요 장면을 3D 입체로 구현했다. 관람객은 이렇게 재현된 장면을 옮겨 다니며, 애니메이션 속 주인공이 된 듯한 환상에 사로잡힌다.이번 전시에서는 , ...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핵심으로 이끈 주역케이스타는 세계적으로도 깜짝 놀랄 사건이었다. 당시 한국은 서울대와 카이스트,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에서 실험실 규모의 소형 토카막 장치들로 기초연구들을 하던 이 분야의 변방이었다. 그런 한국이 난데없이 중형 핵융합 장치를 만들겠다고 나섰다. 그것도 당시 아무도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2014년의 마지막 달이다. 올해를 뒤흔든 과학뉴스에 운석을 빼면 섭섭하다. 우리나라에 71년 만에 운석이 떨어지면서 갑자기 ‘슈퍼스타’가 됐다. 하지만 ‘로또 운석’ 논란 속에 진짜 과학은 묻히고 말았다. 그래서 올해가 다 가기 전에 불러 모았다. 자신들의 진정한 가치를 몰라 섭섭하다는, ‘ ... ...
- 동글동글 새콤달콤 블루베리의 3색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정수민 명예기자와 함께 싱그러운 블루베리 농장으로 출발~!첫 번째 색깔 연두색우와~! 서울에 있는 건물 옥상에 이렇게 울창한 블루베리 숲이 있다니 정말 놀라워!블루베리 나무는 작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커! 그런데 왜 숲이 온통 연두색이지?익기 전 블루베리는 연둣빛도심 한가운데 위치한 ... ...
- [시사] 아벨상 수상자 세머레디 교수 난제 해결의 실마리는 가벼운 문제에서수학동아 l2014년 12호
- 012 아벨상 수상자 엔드레 세머레디 미국 럿거스대 교수가 세계과학한림원서울포럼 강연을 위해 한국을 찾았다. 지난 11월 13일 세종대학교에서 열린 세머레디 교수의 특별강연에는 고등학생을 비롯한 수학전공자들이 한데 모여 인산인해를 이뤘다. 이 세계적인 수학자는 한국의 젊은 수학도에게 ... ...
- [참여] 수학을 배우고, 나누고, 즐기는 제4회 창의적수학토론대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최선의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토론 현장에는 국내외 유명 대학 수학과 박사과정생과, 서울대 수리과학부 이학박사 출신의 CMS 영재교육연구소 부소장 등 수학계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토론 능력을 평가했다. 마지막 미션은 ‘릴레이 게임’이다. 이름 그대로 마치 릴레이 경주를 하듯 답안지를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발생하기 위한 ‘스위치’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방식에는 문제가 있다. 나용수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수소폭탄의 원리와 정확히 같다”고 말했다. 수소폭탄은 핵융합이 일어날 수 있는 초고밀도, 초고온 상태를 만들기 위해 1차로 다른 기폭 장치를 작동시키는 2단계 폭발 방식을 취한다. ... ...
- [hot science] 콘돔, 부끄럽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한다는 게 큰 문제죠.”공장을 나서는 길에 그 경비원이 다시 말을 붙였다. “멀리 서울에서 오셨는데 조심히 가시라”며 웃었다. 들어설 때와는 또 다른 부끄러움이 밀려들었다. ‘아깐 저 분을 오해했구나’라고. 취재를 하겠다고 당당한 척 굴었지만, 기자 역시 사회에 만연한 선입견을 갖고 ... ...
이전2602612622632642652662672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