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한반도에서 잘 자라면서 수확량이 많은 벼 품종이 필요했다.마침내 1964년 허문회 서울대 교수가 필리핀 국제미작연구소에서 새로운 벼 품종 개발에 나섰다. 허 교수는 자포니카와 인디카의 혼합종에 관심을 가졌다. 안남미라고 불리는 인디카 종은 자포니카 종보다 생산성은 높지만 동북아시아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월드컵 맞이 송종국FC 건강한 축구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태윤아, 이번 월드컵은 브라질에서 열린대.응, 이제 한 달 정도밖에 남지 않았어.우리나라 국가대표 선수들이 이기기를 바라면서 우리도 공을 차 볼까?으악, ... .친구들과 재미있게 축구 시합을 하면서 몸과 마음을 쑥쑥 키워야겠어!명예기자 : 원서진(서울 잠실초4), 이태윤(성남 서당초3 ... ...
- [과학뉴스] 3년만의 개기월식과학동아 l2014년 10호
- 14분쯤부터 진행된다. 개기월식은 7시 24분부터 관찰할 수 있으며, 절정은 7시 55분쯤이다.서울 용산에 위치한 과학동아천문대에서는 개기월식이 이뤄지는 시간 동안 밴드가 직접 공연을 하며 파티 형식으로 월식을 관측하는 축제를 열 계획이다. 전문가의 해설과 함께 월식의 전과정을 망원경으로 ... ...
- [과학뉴스] 물에 햇빛 쪼이니 수소가 펑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햇빛만 비추면 차세대 에너지원인 수소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이종협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팀은 물에서 수소를 기존보다 74배 높은 효율로 분리할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연구팀은 가시광선을 이용해 물에서 수소를 분리할 수 있는 촉매인 금 나노입자에 ...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더 샤드조차 무탄소건물 수준에는 크게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안전도 부담이다. 2012년 서울에서 발생한 도심 건물 헬기 충돌 사고와 2010년 부산에서 발생한 오피스텔 화재 사고는 초고층 건물에서 안전이 특히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특히 9·11테러를 겪고 나서는 입주자들의 탈출에도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의 이진형 교수는 공학과 의학, 생물학을 넘나드는 대표적인 ‘융합 연구자’다. 서울대(학사)와 스탠퍼드대(석·박사)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했지만, 지금은 신경학 및 신경과학을 연구하며 뇌의 신경세포인 뉴런을 자극해 뇌질환을 치료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2010년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 ... ...
- [hot science] 아침사용설명서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못했다. 이제 조금씩 바뀌고 있다. 전북 교육청은 10월부터 9시 등교를 시행할 예정이며 서울과 광주, 제주 교육청도 9시 등교에 대한 의견 수렴에 나섰다. 미국에서는 등교 시간을 바꾸는 것이 학생을 얼마나 드라마처럼 바꿀 수 있는지 보여줬다. 이제 우리가 보여줄 차례다 ... ...
-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커뮤니케이션즈’ 9월 2일자에 발표한 연구로, 필자가 있는 극지연구소를 비롯해 서울대, 포스텍, 전남대 등 국내 대학과 미국 알라스카대, 퍼시픽노 스웨스트 국립연구소의 연구진이 함께 이뤄낸 성과였다.2013년 발표된 제5차 정부 간 기후변화협의체(IPCC)보고서는 지난 100여 년 동안 전 지구 ... ...
- [career]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4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수 없는 주제였는데도 불구하고 본선 진출작의 수준은 놀라웠다. 올해 대상을 수상한 서울과학고 MacTosh팀(이명환, 함재훈, 지도교사 이상귀)의 연구를 살펴보자.세 팀 모두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끈기 있는 자세가 돋보였다. MacTosh팀의 함재훈 학생은 “2차 전지의 확대막 재질이나 화학반응 같은 ...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과학동아 l2014년 10호
- ▶ 과학의 고래바다와 만나 진화한 첨단과학Q 오랫동안 바다를 연구해온 교수님은 바다가 어떻게 보이시나요?A 저도 보통사람과 똑같습니다. 끝이 보이지 않는 지평선을 보면서 바다의 크기에 놀라고, 시원한 바다를 보면 뛰어들고 싶습니다. 바다를 공부하게 된 것도 바다를 좋아해서입니다. 바다 ... ...
이전2642652662672682692702712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