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소
재료
원료
물질
소재
원소
실재물
d라이브러리
"
성분
"(으)로 총 3,270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맥경화 해결사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아키라 엔도가 페니실륨 곰팡이 배양액에서 유사한 구조를 가진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
성분
을 분리해 '콤팍틴'이라고 이름 붙였다는 것이다. 이 소식은 사실을 가능성이 높았다. 임상실험은 즉시 중지됐다.그러나 다행히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됐고, 임상실험은 재개됐다. 1987년 알버츠와 함께 ... ...
3. 통증을 정복한다 : 마약, 그 뒤에 숨은 이야기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그 주
성분
인 카나비노이드(cannabinolds) 농도가 낮다. 초여름에 대마가 크게 자랄 때 약효
성분
이 제일 높다고 해서 요즘 이를 구하는 남용자들이 산골을 설치고 다닌다. 양귀비에서 아편을 추출하듯, 대마초에서 추출한 물질을 해쉬쉬(hashishi)라 한다. 한편 LSD는 실험실에서 합성한 물질로 아주 적은 ... ...
허블우주망원경 6주년 생일파티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밝혀냈다. 북극관은 행성의 궤도운동과 계절의 변화에 따른 얼음층의 분포, 그리고 대기
성분
등에 의해 변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명왕성의 지형 이름에 관한 공모는 추후에 있을 예정이다. ‘태백산맥’이나 ‘개마고원’ 같은 우리말 이름을 붙이면 어떨까. 비누방울 모양의 천왕성적외선으로 ... ...
먹는 피임약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시장에 내 놓았다.피임제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피임제의 한
성분
인 프로게스틴
성분
은 부작용이 적은 선택적인 약으로 대체되거나 피임이 가능한 범위에서 소량 사용하게 됐다. 그러나 피임제를 장기복용한 여성은 심근경색과 뇌졸중 등의 심순환계 질병의 발생률이 높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풀렸다.오동열과장은 "어떤 약물에는 몇초간 멍하니 '살짝 뜨는'(high) 기분을 느끼게 하는
성분
이 있다"고 말하면서 "이를 장기간 복용하면 알코올로 인한 기억상실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대표적인 경우가 콧물을 마르게 하는 항히스타민제. 감기약을 먹었을 때 머리가 잠시 ... ...
2. 알칼리 이온음료는 왜 산성일까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바깥쪽 물분자와 연결되게 된다. 이 올챙이 모양의 비누분자들은 계속 흔들리다가 기름
성분
들을 둥그렇게 둘러싼 상태로 떨어져 나온다. 이런 과정이 거듭되면서 빨래는 세탁이 된다. 여기서도 알칼리금속 화합물은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알칼리 이온음료가 산성인 이유시중에 나와있는 ... ...
이슬 머금은 자태로 먹이 유혹 끈끈이주걱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발달해서 뿌리로부터 질소
성분
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한다. 그래서 부족한 질소
성분
을 보충하기 위해 곤충을 잡아먹으며 살아간다.지혜 끈끈이주걱에 돌과 철사, 그리고 쇠고기를 올려 놓았을때 끈끈이주걱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 돌을 올려놓으면 약한 반응을 보이다 원래상태로 돌아온다 ... ...
대책없는 광우병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돼콜린지는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낙관적이다. 왜냐하면 광우병에 걸린 소의 뇌조직
성분
으로 쥐를 감염시키는데는 같은 종인소를 감염시키는 것보다 1만배의 용량을 주입해야 했다. 또 사람의 뇌 유전자를 이식한 쥐에게 광우병에 걸린 소의 뇌세포를 주입했는데, 이 쥐는 평균 수명의 거의 반을 ... ...
1. 음식 : 유아·아동기 태아부터 4세까지 DHA 아라키도닉산 공급 필수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임신여부를 잘 확인할 수 없는 처음 3개월 간이 가장 문제가 되는 시기다. 알코올
성분
은 태반을 쉽게 통과해 태아에게 전달되는데, 특히 태아의 세포분열이 활발히 일어나는 임신초기에 알코올의 독성효과가 직접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임신부가 담배를 많이 피우면 아기는 심리나 학습능력에 ... ...
숙식제공받고 보초선다. 수도머멕스 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당분은 물론 단백질도 풍부하게 있는 반면 꽃밖 꿀샘에서 생산되는 단물에는 단백질
성분
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개미는 필요한 양의 단백질을 섭취하기 위해 다른 초식동물들을 잡아먹어야 한다.박쥐의 도움으로 정받이를 하는 벌사나무(balsa tree)의 예를 보자. 박쥐를 위해 꽃안 꿀샘에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