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산
제조
산출
저작
가공
수법
창작
d라이브러리
"
제작
"(으)로 총 3,811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악파일의 혁명 MP3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홈페이지(www.sorinara.com)에 방문하면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소프트모션사가
제작
한 미스터 앰피3(Mr.MP3)는 가사가 출력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연주 중에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어 노래방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업그레이드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어 기대해 볼만한 프로그램이다.MP3 ... ...
무궁화3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곳은 무궁화위성 1, 2호를 개발한 바 있는 록히드 마틴사(社). 우리나라는 위성 설계와
제작
에 함께 참여하면서 상당한 노하우를 습득했다. 또 안테나, 충전지 장치 등 일부 부품이지만 우리 제품들도 들어갔다. 그동안 들인 공을 접어두더라도, 투자한 1천7백80억원을 생각해 하루 빨리 통합방송법이 ... ...
만약의 사태 대비하는 다중안전장치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방호벽은 원자로 압력용기. 핵연료봉을 넣어 두는 곳으로 25cm 두께의 철제 압력용기로
제작
한다. 원자로가 과열되더라도 높은 압력과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했다.네번째 방호벽은 3-4cm의 철판으로 만든 원자로 격납용기. 터빈을 돌리는 증기와 냉각수가 지나가는 길로 방사성물질에 의해 오염된 ... ...
컴퓨터 화면의 꽃 스크린세이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화면 보호기를 선택해 미리볼 수 있다.이 스크린세이버를 실행하려면 매크로미디어에서
제작
한 ‘플래시’라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플래시는 매크로미디어 홈페이지(www.macromedia.com)에서 다운로드 → 웹 플레이어 → 플래시를 선택한 후 오토 인스톨을 마우스로 누르면 자동으로 컴퓨터에 ... ...
산업설비안전성평가연구센터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그의 꿈은 국내 산업설비의 안전성을 우리 손으로 확보하는 일이었다. 처음에는 외국
제작
회사의 점검에 익숙한 한국의 상황에서 ‘한국사람이 제대로 알겠느냐’며 시큰둥한 눈길을 보내는 것도 감수해야 했다.물론 현재는 상황이 바뀌었다. 2년 전부터 과학기술부가 9년 계획으로 ... ...
IBM왓슨 연구소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그런데 하버드대학에서 공식발표를 하는 자리에서 에이킨은 큰 실수를 범하고 말았다.
제작
비의 3분의 2를 대고 상당수의 부품을 제공했던 IBM의 사장 토머스 왓슨을 발표회장 뒷줄에 앉힌 것이다. “만약 총만 들었다면 아버지는 에이킨을 죽이려고 했을 것이다.” 2대 IBM회장에 오른 토머스 왓슨 ... ...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장점만 살린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힘을 보태고 있다.조교수는 교수벤처 시대의 문도 처음 열었다. 바로 오디오 앰프를
제작
하는 벤처기업인 ‘A 탄카멘’을 창업한 것이다. 박사과정에 있는 제자 10명이 직원이고 한국과학기술원 전자동의 40평, 영상동의 15평 남짓한 공간이 공장이다. 이곳이 바로 세계 최고 수준의 앰프를 세계시장에 ... ...
프로게이머 슬기팀이 추천하는 여름나기 톱게임3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하는 5인이 처음으로 출사표를 냈다. 신주영씨는 지난해 11월 블리자드(스타크래프트를
제작
한 회사) 래더 토너먼트에서 1위를 차지한 세계챔피언. 고등학교 시절 일본에서 개최된 버추얼파이터 세계대회에서 우승해 일찍이 '신의 손'으로 통했다. 신씨의 인기는 게임계에서는 야구의 박찬호만큼이나 ... ...
한국형 SF영화 용가리 1998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용가리’의 후속 작품으로 내년 여름 개봉을 목표로 ‘콘돌’과 ‘이무기’의 사전
제작
작업에 이미 돌입했다고 한다. ‘용가리 1998’로 열린 한국형 SF 영화의 역사는 이제 비로소 본격적인 출발선에 서있다고 할 것이다 ... ...
다이옥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발암 가능성다이옥신의 위험이 최초로 밝혀진 계기는 1949년 미국 몬산토사의 제초제
제작
공장이 폭발한 사건이었다. 당시 제초제에 노출된 노동자들이 오랜 기간 피부병 등으로 고생하자 다이옥신에 대한 독성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현재 세계보건기구는 다이옥신을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한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