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산
제조
산출
저작
가공
수법
창작
d라이브러리
"
제작
"(으)로 총 3,811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 대삼각형과 오리온의 사냥개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알고, 시리우스에 영향을 미치는 별이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 뒤 유명한 망원경
제작
자인 앨번 클라크가 1862년에 새로 만든 직경 47cm 굴절망원경을 시험하던 중 8.5등급인 작은 동반성을 발견하고 ‘강아지’(Pup)로 이름지었다. ‘강아지별’은 시리우스와 비슷한 표면온도를 가진 별임에도 1 ... ...
빙켈만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밝힐 수 있었다.1710년 남편이 사망하자 천문학자 자리가 비었다. 빙켈만은 달력을
제작
하는 작업의 조수 자리라도 좋으니 자신과 아들에게 일자리를 달라고 아카데미에 청원했다. 그러나 아카데미는 냉정하게 거부했다. 단지 그녀가 여성이었기 때문이다.결국 아카데미는 경험없는 다른 남성을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비로소 자신들의 실체를 파악하고 다시 우주 개척의 길에 나 선다는 내용이다. 외계인이
제작
한 도시우주선 - 태양에서 삶의 에너지 얻는 라마'하드 SF'에서 또하나의 교과서적인 모범을 보여주는 걸작인 아서 클라크의 장편 '라마와의 랑데 뷰'(1973) 역시 거대한 도시우주선을 묘사한 작품이다. 이 ... ...
화려함 뒤에 숨겨진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성서에 나오는 이야기가 별자리로 된 유일한 경우로 16세기 네덜란드의 신학자이자 지도
제작
자인 페트루스 플란치우스가 토끼와 큰개의 바로 아래에 만든 별자리이다. 구약성서의 노아가 비가 멈춘 뒤 마른땅을 찾기 위해 방주에서 날려보낸 비둘기가 올리브 잎사귀를 물고 돌아왔다는 이야기에서 ... ...
질량의 기원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한국인들이 몇명 끼어 있었다. 2005년 완성될 가속기에 핵심 부품으로 쓰일 검출기를
제작
한 고려대 박성근교수팀이 바로 그들이다. 혹시 문제는 없을까. 이들은 검출기를 시험 가동하느라 교대로 24시간 눈을 떼지 않았다. 이들은 그토록 열정을 쏟고 있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그것은 바로 미지의 ... ...
1. 에너지문제 해결하는 무한동력, 영구기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이런 탓에 수많은 과학자들은 태양열을 이용한 영구기관을 만드는 것보다 저온용 급탕기
제작
에 열을 내고 있다.만드는데 사용된 엄청난 에너지한편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자계산기나 전자시계는 빛만 있으면 어느 장소에서나 작동한다. 굳이 햇빛이 아닌 조명등 아래에서도 문제없다. 그러나 ... ...
3. 빛보다 빨리 달리는 우주선 초광속비행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이 정도에서 초광속 비행을 단념하려고 하지 않는다. 물리적인 방법으로 광속 우주선을
제작
하는 아이디어는 불가능하지만, 광속 여행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는 새로운 개념은 불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영국 웨일스의 물리학자 앨큐비에르는 시공간을 임의로 변형시킴으로써 초광속 운동이 ... ...
Ⅰ 머큐리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기술을 연마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었다.현재 진행되고 있는 2단계(98-99년)는 1단계에서
제작
한 알파의 기초적인 구조물들을 4백35km의 지구궤도상에서 조립한다. 오는 11월 20일에는 최초의 알파 구조물인 '자르야'(화물선 기능의 모듈)가 러시아 프로톤 로켓에 의해 발사될 예정이다.3단계가 끝나는 200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아들을 데리고 한적한 오두막을 찾았다. 손에는 번개의 성질을 알아내기 위해 직접
제작
한 연이 들려 있었다.얼핏 보면 연의 모습은 평범해보였다. 가늘고 긴 나무막대 두개를 십자형으로 만들고 큰 손수건으로 네 귀퉁이를 묶은 형태였다. 하지만 세로축 나무에 긴 철사를 잡아매고 연꼭대기에서 3 ... ...
북한 로켓 미스터리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1호(3백50kg급)를 쏘아올릴 예정이다. 이후 2015년까지 총 7기를
제작
할 계획을 갖고 있다. 참고로 98년 8월 현재 활동하고 있는 인공위성은 총2천5백여개(한국은 4개이며 북한은 없음). 이미 수명을 다해 우주쓰레기로 존재하는 것까지 합치면 8천8백개이다. 이를 종합해보면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