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52건 검색되었습니다.
1900광년 떨어진 ‘늙은 별’서 전파 포착 성공
2016.05.31
관측 결과가 빛으로 볼 수 없는 만기형 별의 복잡한 물리적 현상과 메이저 전파의 발생
원리
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조 연구위원은 “두 나라 관측 장비를 조합해 만든 ‘KaVA’를 통해 메이저 전파의 공간분포를 정확하고 자세하게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며 ... ...
몸 속 단백질 정확한 위치 찾아낸다
2016.05.30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교수는 “단백질의 분포를 정확히 확인해 작동
원리
를 이해하면 약물 전달 물질 설계 등 신약 개발에 걸리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며 “세포생물학 연구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생물학 분야 권위지인 ‘셀 리포트(Cell ... ...
알코올로 청정휘발유 만드는 ‘꿈의 촉매’ 구조 밝혀냈다
2016.05.30
연구팀이 흔한 공업용 알코올을 청정 휘발유로 바꾸는 ‘꿈의 촉매’ 제조
원리
를 규명했다. 홍석봉 포스텍(포항공대)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차세대 촉매재료로 각광받고 있는 ‘제올라이트(알칼리성 광물의 일종)’인 ‘E-12 제올라이트’ 합성에 성공하고 그 구조까지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고 ... ...
시력 나쁜 우리아이 ‘드림렌즈’ 껴도 괜찮나요?
동아일보
l
2016.05.30
제품을 사기 전에 안과에서 테스트용 렌즈를 껴보고 효과가 있는지 판단하는 게 좋다. Q.
원리
가 무엇이고, 효과는 얼마나 되나. A. 근시와 난시는 각막이 정상보다 굽어 물체의 상이 망막에 제대로 맺히지 않을 때 생긴다. 이 렌즈는 자는 동안 산소를 투과하는 특수렌즈로 각막을 평평하게 눌러 ... ...
암세포 잡는 ‘자연살해(NK)세포’ 활성화 방법 찾았다
2016.05.29
제거할 수 있어 차세대 항암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NK세포가 작동하는
원리
나 활성화 특성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실질적인 암 치료에 제대로 활용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NK세포가 암세포를 만났을 때 표면에 나타나는 몇 가지 면역수용체를 조합한 결과, 암세포 제거 핵심인자(NF-κB)가 ... ...
우주에서 펼쳐지는 갈릴레이 자유낙하 실험
2016.05.27
71년 미국 스탠퍼드대가 처음 제안했다. 이후 1977년 NASA와 유럽우주국(ESA)이 공동으로 등가
원리
를 실험할 위성 ‘스텝(STEP)’을 쏘아 올리려고 했지만 기초 실험 단계에서 중단됐다. 이번에 마이크로스코프 위성에서 이뤄질 자유낙하 실험은 질량이 서로 다른 티타늄(Ti)과 백금(Pt)-로듐(Rh) ... ...
[REVIEW] 프로 애플러 기자가 직접 쓴 아이패드 프로 9.7 사용기
2016.05.26
가장 자연스러운 색을 만든다. 디지털 카메라가 빛을 읽어 화이트밸런스를 맞추는
원리
와 비슷하다.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이 부분이 아이패드 프로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본다. 기존 디스플레이는 한번 맞춰진 색으로만 표현한다. 이를 바꾸는 건 그리 쉬운 일이 ... ...
차세대 이차전지 효율 획기적으로 높였다
2016.05.24
돼왔다. 리튬-공기 전지에서의 연구진이 개발한 액상 촉매 DMPZ(주황색 별)가 작용하는
원리
를 나타낸 모식도. - 서울대 제공 연구진은 기존에 알려진 몇 가지 액상 촉매들의 공통점을 컴퓨터로 계산한 뒤, 이를 기반으로 이론적으로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는 촉매를 설계했다. 그 결과 새롭게 ... ...
건물이 살짝 기울어졌네? 미세한 변화 감지하는 압력센서 개발
2016.05.24
결정되는데, 유연한 기판에 압력을 가하면 격자 구조가 달라지고 파장 역시 바뀐다는
원리
를 이용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 레이저의 색 변화. 정상 상태의 나노 레이저(가운데)를 늘리자 보라빛으로 색이 변화하고(오른쪽), 압축시키면 보라빛이 줄어든다(왼쪽). - 고려대 제공 이 레이저는 격자 ... ...
수백 년 전 명화 살아 움직이게 만드는 ‘조트로프’
2016.05.22
되기도 했다. 전기를 개발한 것으로 유명한 과학자 토머스 에디슨은 1892년 조트로프
원리
를 활용해 여러 장의 사진이 움직이는 영상으로 보이도록 하는 ‘키네토스코프’를 만들었다. 이후 에디슨은 자신이 발명한 원통형 축음기와 키네토스코프를 연결시킨 ‘키네토폰’을 개발해 유성(有聲)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