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52건 검색되었습니다.
“제가 노벨상 받은 비결요? ‘신뢰’하는 프랑스 학풍 덕분이죠”
2016.05.05
그의 연구 성과가 양자컴퓨터의 이론적 기반이 됐기 때문이다. 양자컴퓨터는 양자역학
원리
에 따라 작동되는 미래형 첨단 컴퓨터다. 그는 “양자컴퓨터는 10년 안에 상용화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신중한 전망을 내놓았다 ... ...
본보 전승민·이재웅 기자, 5월 과학기자상 수상
2016.05.03
웨어러블 로봇 연구현장을 취재해 현실감 있는 정보와 국내외 실용화 현황, 기술적
원리
등을 폭넓게 소개해 완성도를 높인 점을 높이 평가해 선정했다”고 밝혔다. 전 기자는“최근 로봇과 인공지능이 주목 받고 있는 가운데, 현실성 높은 기술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자연스럽게 ‘웨어러블 ... ...
DNA ‘스위치’ 찾았다…유전자 질환 치료 청신호
2016.05.03
상호작용을 이용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지만 DNA 활성을 가역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원리
를 찾아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단백질이나 효소 등에 정확하게 결합하는 물질을 만들면 핵산중합효소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작은 단일 가닥 핵산 조각인 ‘압타머’라는 ... ...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스마트폰 쓰는 데 빅뱅이 필요하다고?
동아일보
l
2016.05.03
즉, 석탄은 식물에서 온 것이다.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만든다. 광합성의
원리
는 간단하다. 이산화탄소에 전자를 몇 개 넣고 양성자를 첨가하면 유기물 ‘당’과 에너지원 ATP가 만들어진다. 이산화탄소는 당신과 같은 동물이 호흡할 때 내뱉는 것이다. 동물이 없으면 식물도 존재할 수 없는 ... ...
유방암 ‘유전자 백과사전’ 나왔다
2016.05.03
수 있는 백과사전을 만든 데 의의가 있다”며 “다양한 종류의 유방암이 발생하는
원리
와 치료기술을 연구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공 교수팀은 동서양의 유전체 차이에 따라 난치성 유방암 발생에 어떤 특이점이 있는지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유방암 ... ...
정전기에 드론까지…미세먼지 잡는 기술 어디까지 개발됐나
2016.04.29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전기를 띤 책받침이나 풍선 표면에 먼지가 잘 달라붙는 것과 같은
원리
다. 그는 이 아이디어를 구체화해 지난해 ‘스모그 프리 타워’를 공개했다. 먼지 입자에 전기적 성질을 띤 이온을 붙인 뒤 전극을 이용해 미세먼지를 끌어당기도록 했다. 탑 높이는 약 7m로 시간당 3만 ... ...
헐크가 된 야구선수들, 지난겨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6.04.29
중요해지고 있다. 투수는 앞으로 이동하면서 던질 수 없기 때문에 대신 태엽 기계의
원리
를 이용한다. 팔을 포함한 몸 전체를 뒤로 감았다가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신체 하부의 회전력과 근력이 뒷받침돼야 한다. 실제로 한 연구에서는 팔을 똑바로 세우고 던지는 오버헤드 투수가 공을 ... ...
[샘킴 셰프와 함께한] 가족 사랑이 보글보글~ 오늘은 내가 요리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4.28
구운 생선에 식초나 레몬을 뿌리면 염기성 성분인 비린내가 줄어드는 것과 같은
원리
지요. 기자단은 마지막으로 주먹밥과 양념을 접시에 놓고, 레몬으로 예쁘게 장식해 요리를 마무리했답니다. 기자단은 보기만 해도 침이 꿀꺽 넘어가는 아란치니를 만들며 협동심을 배우고 가족 의 사랑까지 ... ...
‘세상에서 제일 빠른 단백질’ 순간포착 첫 성공
2016.04.26
촉매작용 속도가 현재까지 알려진 단백질 중 가장 빨라 그동안 직접 관찰이 어려워 작동
원리
를 밝히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고압력 냉각 기술’을 활용해 초고속으로 움직이는 탄산탈수효소의 작용 과정을 순간적으로 느리게 만들었다. 그 ... ...
LED 효율 떨어뜨리는 원인 새롭게 밝혔다
2016.04.26
사이언티픽 리포트 제공 국내 연구진이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의 발광 효율을 저하시키는 새로운 원인을 찾는 데 성공했다. 향후 LED의 성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방준혁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선임연구원 팀은 공주대, 미국 렌셀러 폴리테크닉 대(RPI) 연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