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스페셜
"
발견
"(으)로 총 2,84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톰슨-대륙을 단일 공간으로 묶은 해저 케이블
동아사이언스
l
2014.11.24
열을 낸다는 사실을, 그로부터 7년 후 마리 퀴리가 라듐이 열을 낸다는 사실을
발견
함으로써 톰슨의 지구 나이 계산에 오류가 있음이 드러났다. 톰슨은 추후에 자신의 계산이 틀렸다는 것을 인식했음에도 결코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실수를 인정할 수 없을 만큼 거물이 되었기 ...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습지 지리여행(Wetland Geotravel)
동아사이언스
l
2014.11.24
그럼 어떤 방식으로 습지 물이 분화구 속으로 빠져나가는 것일까? 이번엔 어떤 규칙성을
발견
할 수 있는 것일까? 그림 2. 물영아리오름습지의 수위 변화. 강우에 대한 습지수위 증가와 감소 패턴이 매우 규칙적이다. 그림 2는 강우 시 물영아리오름습지의 수위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 같은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이른다. ●태양보다 수백만 배 밝아 이번 발표 이전에도 태양 질량 150배를 넘는 별이
발견
됐다는 논문이 몇 편 있었지만 대부분 오류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1980년대 우리은하의 위성은하인 대마젤란운의 R136 성단에서 관측된 별의 밝기를 토대로 질량이 태양 질량의 수천 배에 이른다는 주장이 ... ...
패러다임 바꾸는 연구가 노벨과학상을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부부는 2005년 실험에서 또 다른 위치정보 처리 시스템인 '격자세포(grid cell)'의 존재를
발견
했다. 미로를 헤매던 쥐가 복합적인 감각요소가 있는 위치를 지날 때마다 내후각 피질의 특정 세포들이 6각형의 격자 무늬로 정렬해서 좌표의 기준점 역할을 했다. 이들 격자세포는 장소세포와 연계해 위치를 ... ...
로드인터뷰 단위이야기 [제7편]
동아사이언스
l
2014.11.12
있는 '뉴턴의 사과나무' 특집을 마련했다. 영국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이
발견
한 '만유인력의 법칙' 그리고 힘의 단위, N(뉴턴)에 대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문가의 자세한 설명을 들어본다. ... ...
우리가 정말 행복했을까?
2014.11.10
‘Savoring(음미)’이라는 책을 샀는데, 순전히 책 제목을 ‘음미’하다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
한 게 이유다. 삶을 소비할 것인가 음미할 것인가? 미국 로욜라대의 프레드 브라이언트 교수와 미시건대 조셉 베로프 교수는 긍정적인 경험의 새로운 모델로서 음미의 중요성을 강조한 책 ‘음미’를 ... ...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국의 과학기술자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05
Konstantin Novoselov)이 공동 수상했다. 김 교수는 이들에 이어 세계 3번째로 그래핀의 존재를
발견
했으며 실험으로 확증한 것은 이들과 같은 시기지만 아쉽게도 노벨상은 받지 못했다. 수상자인 가임 경은 김 교수의 업적을 인정하며 "노벨상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김 교수는 ... ...
충적층 위의 아찔한 도시, 싱크홀 '대란'의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05
비슷한 이유로 거대 싱크홀들이 발생한 바 있다. 석촌지하차도 아래의 동공도 빨리
발견
하지 못했다면, 주변의 고층빌딩을 삼키는 거대한 지옥의 입구가 됐을지 모른다. 그렇다면 대체 왜 싱크홀이 발생한 걸까? 우리나라 싱크홀이 발생한 지역 하부의 기반암은 대부분 화강암과 호상편마암이다. 두 ... ...
위를 줄인다고 비만이 해결될 수 있을까?
2014.11.03
자세히 살펴본 결과 위주머니와 연결된 소장(공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지는 현상을
발견
한 것. 연구자들은 평소 어느 정도 소화된 음식이 들어오던 공장이 갑자기 소화가 안 된 음식과 만나면서 이에 적응하기 위한 변화라고 해석했다. 즉 제대로 된 위가 없다보니 공장 앞부분이 늘어나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가축이나 가금의 사료에 항생제를 소량 섞었는데 뜻밖에도 동물들이 빨리 자라는 현상을
발견
한 것. 한 메타분석 결과를 보면 돼지를 키울 때 항생제를 먹이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체중이 평균 16.4% 더 나가고 사료 효율도 6.9%더 높았다. 요즘은 장내미생물의 장점이 집중적으로 부각되고 있지만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