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스페셜
"
발견
"(으)로 총 2,842건 검색되었습니다.
착한 갑상샘암?! 그러나 암은 암이다
KISTI
l
2014.10.27
이상은 수술을 해야 한다고 되어 있다. 다만 0.5㎝ 이하라면 주위 림프절로 진행된 흔적이
발견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악성 여부를 판단하는 세포검사 자체를 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다. 갑상샘학회 관계자는 “암은 다른 질병보다 의외성이 많고, 크기가 작아도 전이가 생길 수 있어 환자의 ... ...
시력교정술, 제대로 알자
KISTI
l
2014.10.16
모양을 변형시키는 수술이다. 이후 주변 조직에 열손상이 없는 자외선 엑시머 레이저가
발견
되면서 각막수술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기본적으로 라식과 라섹은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해 각막을 깎는(절삭하는) 것이다. 그러나 똑같은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하지만 라식과 라섹은 몇가지 차이점이 있다. ... ...
[Green Lab_현장탐방]바이오연료 만드는 생물시스템공학의 산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기름에 촉매를 가해 에스테르교환반응을 일으켜 만드는데, 이 과정은 1853년에
발견
됐어요. 디젤 엔진이 개발되기도 전이었죠. 그러나 식물성 기름을 이용하는 반응인 탓에 자원이 부족한 전쟁 때가 아니고서는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식량 작물을 사용해야 하는 데다 화석연료에 비해 경제성도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간 코리 부부는 워싱턴대 의대에서 포도당 대사과정에서 중요한 분자인 포도당 1-인산을
발견
했다. 그 뒤 두 사람은 체내에서 포도당이 글리코겐으로 전환되는 과정과 이때 개입하는 인슐린의 역할에 대해 연구를 계속했다. 1957년 아내 거티가 세상을 떠난 뒤 남편 칼은 여생동안 무척 힘들어했다고 ... ...
운명이 나를 IBS로 이끌었다
IBS
l
2014.10.13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그러다 취업 사이트에서 '기초과학연구원'이라는 7자를
발견
하곤 고민 없이 지원을 결심했다. 김봉재 씨는 9년을 플랜트 설계를 해 왔던 엔지니어다. 업무 여건상 한 곳에 머물지 않고 이곳저곳 현장을 옮기는 생활을 해왔었는데, 결혼을 해 가족을 꾸리다 보니 한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
IBS
l
2014.10.08
브로카는 운동성 실어증 환자의 뇌를 부검하여 좌뇌 전두엽 하단이 크게 손상됐음을
발견
했다. 이를 근거로 브로카는 이 부분이 언어를 관장하는 부위라 추측했다. 해부를 통해 언어중추의 위치를 알아낸 브로카와 달리 독일의 구스타프 테오도르 프리치와 에두아르드 히트지히는 개의 대뇌 ... ...
우린 억울해! 새 대가리의 역습
KISTI
l
2014.09.30
있다고 한다. 재미있게도 주위 환경에 따라 반응도 다르다는 것. 닭을 잡아먹는 포식자를
발견
한 수탉은 경고음을 낸다. 하지만 주변에 수탉만 있을 경우는 경고음을 내지 않았다. 다른 수탉, 즉 라이벌이 잡아먹히면 오히려 이득이기 때문이다. ■ 챔팬지보다 똑똑한 까마귀 똑똑한 동물의 대명사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영화 ‘폭풍의 언덕’의 각색 작가인 찰스 맥아더가 찰리 채플린에게 뻔한 장면을 어떻게 참신하게 만들 수 있을지 물었다. “예를 들어 뚱뚱한 여자가 5번가를 걸어가다 바나나 껍질을 밟고 넘어진다면 관객들이 여전히 웃을까요? 수도 없이 연출된 장면인데.” 맥아더는 계속 물었다. “먼저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고고학이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방사선탄소연대측정법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
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를 해 왔다. 즉 시료가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게 아니기 때문에 미생물이나 유기물질 같은 후대의 탄소함유 물질이 침투할 경우 추정 시기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⑦] 생물의 에너지, 바이오매스
2014.09.22
가장 오랫동안 사용해 온 연료, 나무 구석기시대 유적지에서 나무가 타다 남은 숯이
발견
된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인류가 사용하고 있는 연료 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용해 온 대표적인 연료는 나무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무는 매년 계속해서 자라는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써 석탄이나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