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억울한 우울증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11
이런 증상이 2주 이상 계속되면 내가 맞아. 이건 세계보건기구(WHO)의 크리스토퍼 머리
박사
가 개발한 체크리스트야.그런데 한번 생각해봐. 만약 네 ‘베프’(친한 친구)가 실연을 당했어. 한 달 전쯤 여자친구와 헤어졌는데 밥도 제대로 못 먹고 잠도 제대로 못 자. 기분은 계속 울적하지. 할 일도 ... ...
차세대 메모리 비밀 밝히는 왕
박사
과학동아
l
200811
8A 빔라인 X선 광전자분광법우리나라 한 해 총 수출액 중 DRAM 같은 디지털 기기의 저장매체가 차지하는 비율은 30~40%에 이른다. 그런데 전문가들은 반도체를 이용한 기존 메모리는 머지 ... 때문이었다. 이 내용은 내년쯤 논문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차세대 메모리 비밀 밝히는 왕
박사
보 ... ...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연구소 개소
과학동아
l
200811
국제적으로 통용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에 대응한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다.김
박사
는 “애국가가 ‘동해물과 백두산이’로 시작하지만, 정작 동해에 대해서 아는 것은 별로 없었다”며 “해저지형 탐사는 가스하이드레이트 같은 지하자원 탐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해양영토를 ... ...
융합은 아이디어의 보고(寶庫)
과학동아
l
200811
화학및화학공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미국 스탠퍼드대 재료공학과에서
박사
후연구원으로 있다. 학부시절 연구에 대한 첫 경험이 지금까지도 호기심을 유지하는 근간이 되고 있다고 ... ...
부산 과학영재를 글로벌 리더로 이끈다
과학동아
l
200811
교사들이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진로 교육을 하고 있다.
박사
과정에 있거나
박사
학위를 가진 교사가 50%일 정도로 교사들의 학업의욕은 학생들을 능가한다. 김정연 수학교사는 “학생들이 대학교재를 스스로 공부하면서 질문하는 경우가 많아 교사들이 쉴 틈이 없을 정도”라고 말했다.실력과 ... ...
NASA 50주년 하이라이트 10
과학동아
l
200811
증거 찾는 탐사로봇2008년 7월 31일,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피닉스팀 윌리엄 보인턴
박사
는 기자회견에서 화성에서 물을 찾았다고 공식 발표했다. 처음으로 지구 이외의 천체에서 물이 있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찾은 주역은 탐사로봇 ‘피닉스’다. 피닉스는 2008년 5월 25일 화성 북위 68° ‘바스티타스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11
개발하는데 노력하고 있는 풀무원기술연구소를 찾았다. 기자를 맞이한 김태석
박사
는 연구소와 나란히 있는 풀무원식품안전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다.“초기에는 합성첨가제에 대한 인식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사실상 저희가 유일하게 무첨가 원칙을 고수하는 업체였죠. 그런데 지금은 식품업계의 ... ...
바이러스 질환에서 인류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0811
위스콘신대에서 분자바이러스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폭스 체이스 암 센터에서
박사
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했다. 1992년 LG생명과학에서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했고 1996년 연세대에 부임했다. 최근에는 B형 간염바이러스의 게놈 복제 메커니즘을 연구한다.시사기획 | 이그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11
9일 장보고호를 타고 출항했는데, 특별전에서는 장보고호의 항해 근황을 볼 수 있다. 권
박사
에게 직접 편지를 보낼 수 있는 창구도 있다.체험프로그램으로는 다윈의 어린 시절을 맛볼 수 있는 ‘다윈의 놀이터’, 소형 비글호에 올라 다윈의 항로를 따라가는 ‘비글호 승선 체험’, 6종의 핀치새 ... ...
나노세계 발목 잡는 카시미르 힘의 정체
과학동아
l
200811
졸업하고 KAIST 기계공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현재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와 기계공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0년부터 창의적연구진흥사업 디지털나노구동연구단장으로서 생명체의 극미세 구조와 원리를 모사한 N/MEMS 개발에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