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미터 크기 물질 꿰뚫어 보는 냉중성자
과학동아
l
200811
연구시설이 없다. 그동안 최 교수팀은 미국 표준연구소의 시설을 빌려써야 했다. 연구실
박사
과정 도창우 씨는 “이용 횟수도 1년에 한두 번 정도로 한정돼 있고 연구시설을 사용하기 위해 신청한 뒤 기다리다 보면 2~3달 걸릴 연구가 1년 이상씩 지연되는 경우도 있었다”고 말했다.최 교수는 ... ...
서울대 ‘논문왕’서 은메달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0811
산화티타늄(TiO2)이 들어간다. 그런데 지난 8월 미국 환경보호국 산하 벨리나 베로네시
박사
팀은 “생쥐가 산화티타늄 나노입자에 장기간 노출되면 신경세포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은나노 세탁기 수입 금지? 나노 독성 연구의 권위자인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이종협 ... ...
화성 탐사의 최전선 JPL을 가다
과학동아
l
200811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JPL은 MSR의 실행 시기를 대략 2020년 이후로 보고 있다. 비티
박사
는 “MSR은 규모가 워낙 크기 때문에 가급적 국제 협력으로 실행할 계획”이라며 “반도체나 연료전지 등 좋은 기술을 보유한 한국도 기회가 되면 참여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화성 탐사처럼 규모가 큰 ... ...
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
과학동아
l
200811
김유수 선임연구원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대에서 응용화학공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9년 일본 이화학연구소 표면화학연구실에 입사한 뒤 현재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도 참고 기다려주는 일본 연구풍토가 부럽다고 한다 ... ...
보톡스 대신할 LED?
과학동아
l
200811
남성의 눈가 주름에 9주 동안 쪼였다. 그 결과 주름이 줄고 피부 탄력도 좋아졌다.좀머
박사
는 “물 분자는 피부와 혈관에 탄력을 제공하는 단백질인 엘라스틴에 붙어 탄성을 잃게 한다”며 “LED의 빛이 엘라스틴에 붙은 물 분자를 제거했다”고 설명했다 ... ...
LHC, 왜 멈췄나
과학동아
l
200811
충격이 크다”면서 “정밀 조사로 이번 난관을 이겨낼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노
박사
는 “인간이 만든 가장 크고 복잡한 장치에 문제가 생겼다는 사실이 놀라운 일은 아니라는 반응도 있다”면서 “전반적으로는 충격을 받은 상태고 개인적으로도 매우 기대했던 만큼 실망이 크다”며 내부 ... ...
초파리로 파킨슨병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811
이 방법으로 1만 3000개 유전자의 70%(약 9000개)가 변형된 초파리를 얻었다. 연구단의
박사
과정 박지혜 씨는 “초파리는 사람과 질병유전자의 70%가 같고 1세대가 2주 정도로 짧아 유전병을 연구하는 데 장점이 많다”고 말했다.당뇨 조절 유전자의 항암 기능 밝혀연구단은 ‘AMPK’라는 유전자가 고장 ... ...
우연한 발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11
교사는 서울대 국어교육과
박사
과정에 재학중이며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논술교육길라잡이’집필진에 참여하고 있다. 안재익 교사는 서울대 물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마포고에서 공통과학과 물리 과목을 지도하고 있으며 통합교과 과학논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천재는 타고 나는 것인가 ... ...
유인 우주탐사의 산실, 존슨우주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11
담당하는 ‘운용’분야가 있다.2005년 NASA의 11대 국장으로 취임한 마이클 그리핀
박사
는 “50년 뒤 우주식민지를 짓는 일이 NASA의 비전”이라며 “이 목표를 위해 NASA는 2020년 차세대 우주선으로 인간을 달에 다시 보낸 뒤, 2037년 화성에 인간의 첫 발자국을 남길 계획”이라고 밝혔다.글 안형준 기자 ... ...
해파리가 안겨준 형광빛 메달
과학동아
l
200811
clone)이라고 부른다.유권열 교수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스탠퍼드대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유비퀴틴이라는 단백질의 양이 감소된 유전자 결핍 생쥐를 만들어 이들의 시상하부에서 뇌세포가 손상됨을 보여줬다. 최근에는 퇴행성 뇌질환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