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우"(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예이지요. 유한 개의 조각으로 만든 곡면이라면, 왠지 한 쪽 방향으로 계속 걸을 경우 곡면의 ‘끝’에 도달할 것 같습니다. 마치 옛날 사람들이 평평한 지구의 끝에 낭떠러지가 있을 거라고 상상했던 것처럼요. 그러나 유한하면서도 끝이 없는 곡면이 있습니다. ‘경계가 없는 곡면’이라면 ...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존재한다는 것은 가설에 불과하지만, 화성-14형이 3개로 부서진 것은 PBV의 엔진이 고장 난 경우와 유사하다”며 “PBV의 엔진이 작동하지 않으면 주 부스터, PBV, 탄두 등 세 가지 구성 요소가 비슷한 궤도를 따라 분리돼 떨어진다”고 말했다. Question 4 탄두중량 해제=사거리 제한 해제? 지속적인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많은 것과 같은 것 아니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책을 읽더라도 야외에서 읽는 경우 근시 유병률이 더 낮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한 예로 밍구앙 헤 호주시력센터 교수팀은 2010년 10월부터 3년 동안 중국 광저우에 있는 초등학교 12곳에서 1학년 어린이 1900여 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 ...
- 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증가”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프로필파라벤 농도가 눈에 띄게 증가한 경우도 발견됐다. 보습제를 사용한 참가자의 경우 사용 전에 비해 사용 뒤 프로필파라벤 농도가 9.2배 늘었다. 프로필파라벤은 음식을 통해 노출될 가능성이 낮고, 화장품이나 샤워 제품으로부터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연구팀이 이 참가자의 일지를 분석한 ... ...
- [Career] 마음먹은 대로 전기 제어하는 마법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전력 제어 기술이 더욱 중요하다. 정 교수는 “태양광 처럼 시간에 따라 발전량이 다를 경우 블랙아웃을 방지하려면 에너지를 배터리에 미리 저장해야 한다”며 “이 때 과도한 전류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고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려면 전력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 ...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같이 네 가지 경우의 수를 생각할 수 있다. 절단 결과, ➌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런 경우가 생겼다면 잘린 부분 근처에 A의 최댓값보다는 크고 B의 최솟값보다는 작은 유리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유리수는 수직선 위의 유리수 중 하나로서 A 또는 B에 속할 수밖에 없어서 모순이다. 반면 ➍의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모양의 상처를 낸 뒤 15일간 회복 속도를 측정했다. 상처 부위에 피뿌리풀 추출물을 바른 경우가 병풀 추출물을 발랐을 때보다 회복 속도가 2배가량 빨랐다. 분석 결과 피뿌리풀을 구성하는 수천 종의 화합물 중에서 상처치료에 관여하는 물질은 8가지로 밝혀졌다. 이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비타민K가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대뇌로 발달하는 과정을 비교한 겁니다. 바카리노 교수팀은 이를 통해 자폐아의 경우 ‘FOXG1’이라는 유전자가 더 많이 발현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또 이로 인해 자폐아의 유도만능줄기세포가 뇌로 발달할 때 억제성 신경세포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생긴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위 사진). ... ...
- [수학뉴스] 생물다양성 위해 내부 경쟁은 필수?!수학동아 l2017년 10호
- 함께 공존하지 못했어요. 그런데 내부 경쟁이 발생하자 두 집단이 함께 살 수 있는 경우도 생겼어요. 수학이 생태계를 설명한다니 놀랍죠? 이번 연구는 네이처 자매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8월 7일자에 실렸습니다 ... ...
- 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각 자리가 항상 0 또는 1이기 때문에 개수는 2의 거듭제곱꼴이다. 소수점 아래가 3자리인 경우 가능한 수는 23=8개다. 소수점 아래 자리가 자연수 개수만큼 있다면 2N개다. 따라서, 2N이 0과 1 사이에 있는 모든 실수의 개수다. 결론적으로 칸토어 집합의 원소, 0과 1 사이의 모든 실수, 실수 전체는 모두 ... ...
이전2612622632642652662672682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