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이 내려준 돈줄기 빗물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NO3-))같은 음이온이 늘어난다. 이들이 빗물에 녹아들면 pH가 더 낮아진다(산성화).
반대
로 황사현상으로 대기에 미세먼지가 많아지면 칼슘이온(Ca2+)나 마그네슘이온(Mg2+) 같은 양이온이 늘어나 pH가 높아진다(알칼리화).산성비와 먼지비는 빗물이용시설에 얼마나 영향을 줄까. 2003년 11월 서울대 대학원 ... ...
어질어질 우주멀미도 실험열정 막지 못해!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있어서 깔끔하다.
반대
쪽 끝에도 지퍼백이 달려있어서 입구 거즈와 구토한 봉투 전체를
반대
쪽 지퍼백에 완전히 넣은 뒤 지퍼를 닫도록 돼있어 뒤처리도 쉽다.편리한 NASA 멀미봉투를 유용하게 사용한 나는, 올해 10월 ISS를 방문할 후배 우주인(미국인 리차드 게리엇)을 위해 멀미봉투 1개를 선물로 ... ...
sos! 고래는 지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건 어렵거든.목시 조사는 쌍안경, 캠코더, 카메라(➋)를 가지고 고래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로 움직이며 관찰하는 거야. 고래가 북쪽으로 이동하면 배는남쪽으로 이동하면서 한 번 센 고래는 다시 세지 않도록 한단다. 고래를 발견한 위치를 알아 낼 GPS, 고래의 노래를 녹음할 음성녹음기, 스케치 ... ...
메타물질로 소음 잡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다르다. 메타물질은 자연계에서 빛이나 음파가 보통 물질을 통과할 때 굴절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꺾이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다. 전자기파나 음파가 물체에 부딪혀 반사되는 것이 아니라 주위로 우회하는 효과를 낸다.토렌트 박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메타물질을 이용해 원통 ... ...
맞바람에 전진하는 요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해서였다.물에 빠지는 일을 대비해 크루들은 습관적으로 기울어진
반대
편에 자리를 잡는다. 하지만 요트 자체가 전복되는 일은 거의 없다. 요트 아래에 수직으로 달린 ‘킬’(keel)이라는 장치 때문이다. 요트와 오뚝이는 같은 원리사람의 키보다 긴 킬은 요트가 좌우로 기울 ... ...
올림픽 기록 끌어올리는 스피도 'LZR 수영복'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風系)에는 플래너터리(planetary) 풍계가 있고 대륙과 해양 사이에는 계절에 따라 풍향이
반대
가 되는 계절풍(몬순)대의 풍계가 있다 얇은 철판에 용융된 아연을 도금한 것 함석판이라고도 한다 내식성(耐蝕生) · 내구성(耐久性)이 우수하여 지붕 · 연통 · 간판 · 전기기계 등에 사용된다아연은 철보다 ... ...
전자의 '이상행동'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연구실이 한 연구 과제에 연구원을 여러명 배치해 시너지 효과를 내는 방식과는 정
반대
다.“수학 문제를 같이 풀면 실력이 늘지 않아요.”특정 물리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떠올려 시스템을 고안하고 수치를 해석하는 이론 물리학은 수학 문제를 푸는 과정과 비슷하다.“개인이 하나의 ... ...
미래로 씽씽~! 첨단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자동차가 지면을 향해 가라앉게 만듭니다. 비행기가 양력을 받아 떠오르는 것과 정
반대
의 현상입니다. 빠른 속도를 내면서도 도로를 안정감 있게 달리기 위해서이지요. 이렇게 빠른 속도로 달리는 자동차를 지면으로 밀어 주는 힘을‘다운포스’라고 합니다.속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동차는 ... ...
북극빙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인정되고 있으며 동일한 질환을 여러 형의 아데노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예도 있고
반대
로 한 형의 아데노바이러스가 여러 종류의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것은 근육을 구성 하고 있는 온 단백질의 40%를 차지하는 구조단백질인 미오신이다 이 결합은 고에너지 인산결합이므로 약 8000cal ... ...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오히려 증가한다. 만약 자고 싶은 마음이 배고픈 욕구보다 크면 야식을 안 먹겠지만,
반대
상황이라면 어느 순간 라면 한 젓가락을 뜨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반면 어떤 사람들은 밤이 되면 물도 먹기 싫어한다. 이들은 그렐린 수치가 높아지기 전 잠을 잔다. 그렐린은 저녁식사를 한 뒤 급격히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