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같다는 법칙 이탈리아의 A 볼타에 의해 발견되었다절연된 금속을 붙였다 떼면 서로
반대
부호로 대전(帶電)되는데, 이런 금속을 접촉전위차의 순서에 따라 배열한 것 볼타계열이라고도 한다교류회로의 전압과 전류의 실효값의 곱으로 표시되는 피상전력(皮相電力)의 단위 기호는 VA이다회로에 1V의 ... ...
호날두의 신무기 무회전 슛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공기의 흐름이 회전방향과 같은 쪽에서는 공기의 속력이 빨라져 압력이 감소하는 반면,
반대
쪽에서는 압력이 증가한다. 베르누이 정리에 따르면 공기가 ‘흐트러지지 않고 흐를 때’ 빨리 흐르는 쪽이 느린 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아진다. 따라서 압력이 낮은 쪽으로 힘이 작용해 축구공이 ... ...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냉각한 중심부 사이의 온도차와 회전 각속도가 어느 임계값을 넘으면,시계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소용돌이가 생기고, 그 사이를 좁고 빠른 내와 같은 흐름이 파동 모양으로 통한다 그래서 파동이 열이나 운동량을 과수송(過輸送)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열은 측벽에서 중앙부로 수송된다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보여주었다. 통신위성인 이리듐은 약 1시간 30분 주기로 지구를 선회하는데, 태양의
반대
쪽에서 태양빛을 반사하는 각도가 제대로 맞았을 때 빛을 내므로 해가 진 직후가 아니면 잘 볼 수 없다고 한다.이 때문에 관측지역 상공으로 이리듐 위성이 지나가는 시간과 궤적을 확인해 해가 진 뒤 나타날 ... ...
숭례문 무너진 자존심 금강소나무가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문화재로 지정된 묘역의 소나무라고 벌채를
반대
하기도 하지만, 고종 때의 역사적 사례를 되새겨보면 삼척 준경묘의 소나무를 숭례문 복원에 사용할 여지는 있는 셈이다. 문제는 준경묘의 아름다운 경관도 살리면서 숭례문 복원에 필요한 대형 목재도 적절하게 ... ...
문학적 상상력으로 허수 정복하기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1의 위치는 x축 위의 한 점이다. 1에 -1을 곱한 값인 -1은 원점을 기준으로 180도 돌아 x축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 결국 음수를 곱한다는 것은 점을 180도 회전시키는 일이다. 따라서 여기에 -1를 또 곱하면 다시 180도 돌아 원래 양의 x축에 놓이게 된다.허수를 곱하는 건 점을 90도 회전시키는 것에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산맥으로 둘러싸인 분지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기후이다대체적으로 해양성 기후와
반대
의 특색을 가지며, 기압과 바람 이외에는 어느 것이나 일변화 및 연변화의 양이 크다특히 기온은 낮과 밤 및 여름과 겨울의 한난(寒暖) 차가 매우 크다 대륙지역(대륙지각)의 면적이 지질시대를 통해 ... ...
노트북 배터리 연쇄 폭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이동하면 전류는 더 이상 흐르지 않고 전자기기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충전은 그
반대
과정을 따른다. 전기를 다 쓴 노트북을 전원에 연결하면 충전이 시작되는데 이 과정에서 금속산화물 사이에 끼어들어간 리튬이온들은 다시 음극 쪽으로 향하게 된다. 이때 전자도 함께 도선을 타고 음극으로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수 있다.DNA의 복제가 잘 일어나도록 조절하는 단백질도 있다. 연구단은 제미닌과 정
반대
의 기능을 하는 단백질인 진스(GINS)의 작동 메커니즘을 밝혀 지난해 6월 국제과학저널인 ‘유전자와 발생’(Genes and Development)에 발표했다.DNA가 복제되기 위해서는 일단 DNA의 이중나선이 풀려야 한다. 고등생물의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이용해 기계와 서로 대화하듯이 문제를 풀어나가는 것 일괄처리의
반대
개념이며 사용자가 수시로 부분적인 결과를 볼 수 있어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된다 수력발전 방식의 하나 도수철관(導水鐵管)의 거리가 너무 짧아 큰 낙차를 얻을 수 없을 때 수로를 만들어 댐의 물을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