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공중에 솟은 정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지역에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대영박물관에 보관된 니니브의 소위 ‘나무로 꽉
채
워진 장소 아래에서의 향연’으로 유명한 아수르바니팔왕과 왕비가 나무 그늘 아래에서 향연을 베푸는 그림으로도 알 수 있다.디디오르가 기록한 공중정원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인공정원은 한변이 거의 1백2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관광인구의 유입으로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하게 될 것이다.서해대교는 신공법
채
택에 따른 전문기술을 축적해 국내 건설기술 수준을 한차원 끌어올려 놓음으로써 향후 건설시장 개방에 있어 상당한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규모 면에서 사장교, FCM교, PSM교 모두 국내 최대일 뿐만 ... ...
20세기 대우주탐험가 에드윈 허블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망원경으로는 북두칠성의 국자 안에서만도 수백만개의 은하를 관찰할 수 있다고 한다.
채
1백년이 안된 시간 동안 우리가 느끼는 우주는 상상하기 힘들만큼 넓어진 것이다.우주를 바라보는 시야를 한층 끌어올린 데는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Edwin Hubble, 1889-1953)의 활약을 빼놓을 수 없다. 그의 ... ...
UFO목격담 연표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박종국 공군중령이 초등비행훈련을 지휘하며 프로펠러기를 몰고 1.5km고도를 유지한
채
계룡산 방향으로 비행중 지상 3백m 높이에서 팽이 모양의 직경 4m가량의 UFO목격.속도가 음속의 7배 이상이었다고함.2000년미국 애리조나주의 한 야구 경기장에서 야구선수 김병현의 CF촬영중 자유자재로 비행하는 ... ...
서태지 헤어스타일에 프랙탈이 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정량화하기도 쉽지 않다. 서양의 수학자들이 자연에서 프랙탈을 발견한지가 40년이
채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그러나 아프리카인들은 오래 전부터 프랙탈 구조를 의식해왔고, 그들의 문화 속에서 발전시켜왔다. 그들은 우연히 자연의 패턴을 이해하게 된 것이 아니라 치밀한 계산을 ... ...
소행성과 혜성 기원 밝히는 니어-슈메이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직접 달에 해머를 들고 가서 바위를 깨고 표면을 파보기를 희망했다.그 꿈을 이루지 못한
채
1997년 호주에 있는 운석 크레이터를 연구하러 가는 도중 교통사고로 사망했다.1999년 7월31일 미국의 달탐사선 루나 프로스펙터가 그의 유해를 담은 작은 캡슐을 싣고 달에 가 충돌하면서 최초로 달에 묻혀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가장 화려한 모습을 자랑하는 성운에는 여러종류가 있다. 성운은 색깔도 다
채
롭지만 모양도 다양하다. 성운은 별과 별 사이에 있는 먼지나 가스인 성간물질로 이뤄진다. 성간물질이 주변의 별빛을 반사해서 빛나면 반사성운, 차단하면 암흑성운, 스스로 빛을 내면 발광성운이 된다.성운의 색깔은 ... ...
1백10억년 전 폭발한 천체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1백10억광년이라는 이 천체의 거리를 나타낸다고 한다. 이전까지의 기록은 90광년이
채
안되는 거리였다.이번 거대한 폭발에서 나온 빛이 지구에 도달하기 전에 1백10억년을 날아왔다는 사실에 대해 미국 버클리주재 캘리포니아대 우주과학연구소의 물리학자 켈빈 헐리 박사는 “이 천체가 우리에게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그들의 주장을 매우 그럴듯하게 설명해준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절대적인 증거로
채
택될 수는 없겠죠. 이보다 더 그럴듯한 것은 어떤 사람이 UFO 외계인에게 납치되는 순간 제3자가 그 현장을 객관적으로 관찰한 경우입니다. 이런 사례는 매우 드물어서 지금까지 본격적인 논의대상이 될 수 ... ...
Ⅱ. 한국과학자가 계기 마련한 올해화학상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물리학상을 타게 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결국 그녀는 수상의 영예를 안아보지 못한
채
눈을 감았다.여성 차별로 노벨상을 놓친 경우도 있다. 1974년 물리학상은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천체물리학자인 안토니 휴이시 교수에게 돌아갔다. 수상업적은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중성자별인 펄사를 발견한 것.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