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3,962건 검색되었습니다.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
과학동아
l
199912
9개의 8각형 각각의 동일한 위치에 차례로 1부터 9까지 배열하고, 다음 번 자리 9군데에는
반대
로 18부터 10까지를 위치시키는 식으로 숫자를 계속 써 나간다. 그름에서처럼 1-9, 10-18, 19-27 등으로 숫자를 써나가는 순서는 반드시 정수의 배열을 따를 필요 없이 홀수/짝수를 분리해 매겨가더라도 다음 ... ...
방사성 쓰레기가 갈 곳은?
과학동아
l
199912
있어 부지선정에 문제가 있음을 드러냈다. 결국 정부의 성급한 부지선정과 지역주민들의
반대
가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건설을 어렵게 만들고 말았다.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방사성 폐기물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언제까지 원자력발전소 안에 쌓아두고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또 1997년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12
깡통에 이렇게 대전된 풍선을 가까이하면 알루미늄 깡통을 이루는 전자들이 힘을 받아
반대
쪽으로 밀려간다. 그래서 풍선과 마주 대한 부분은 (+)전하로 대전돼 풍선과 깡통은 서로 끌어당기게 된다. 이런 현상을 정전기 유도라고 부른다. 이 때문에 알루미늄 깡통은 풍선을 따라 데굴데굴 굴러간다. ... ...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12
몸에 해로운 세균이 과도하게 성장해 소화 흡수를 방해하므로 설사가 일어난다.
반대
로 장의 연동운동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면 음식물이 장내에 오랫동안 머물지 못하고, 빠르게 지나가므로 소화와 흡수가 충분히 일어나지 못해 대변의 양과 수분함유량이 증가돼 설사가 일어난다. 수인성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12
은하와 은하가 충돌하면 한쪽 은하의 물질이 다른 한쪽에 흡수되면서 성장하기도 하도
반대
로 물질을 빼앗기고 줄어들기도 한다는 것.또한 이번 연구는 신뢰도 높은 별의 나이측정 모델을 통해 구상성단연구에 기여함으로써 우주의 나이측정에도 큰 몫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상성단은 매우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12
한편 미국 스탠퍼드대의 패터슨은 ‘코코’라는 고릴라를 연구해 테라스와는
반대
의 결론에 도달했다. 그는 말이란 더 이상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또 미국 조지아주의 요크영장류센터에 있는 ‘라나’라는 침팬지는 펀칭버튼을 이용해 문장을 만들고 서로 의사를 교환하는 방법을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12
표현된 반달은 과학적으로 보면 하현달이다. 하현달은 새벽녘에 떠서 낮에 보이고,
반대
로 상현달은 초저녁에 떠서 밤에만 보인다.초승달 또한 그믐달과 구분하지 않고 눈썹모양의 달이면 대충 ‘초승달’이라고 표현하고 만다. 하지만 노래에서처럼 새벽이 가까운 깊은 밤에 보이는 달은 엄밀하게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11
차이다. 즉 굴절-반사-반사-굴절의 과정을 겪으면서 색깔의 배열이 첫 번째 무지개와
반대
인 보라색이 위에 있는 무지개로 보인다.많은 사람들이 알고있는 무지개의 모양은 사실 무지개의 전부가 아닌 일부분이다. 어느 경우엔 1/4이고 많이 본다고 해도 1/2을 넘지 못한다. 그것은 바로 무지개의 ... ...
국내 신약 1호 항암제 선플라 개발 주역
과학동아
l
199911
그런데 시스플라틴은 항암효과는 탁월하지만 독성이 너무 강해 부작용이 심했다.
반대
로 카보플라틴은 독성은 줄었지만 항암효과가 낮았다. 선플라는 백금을 제외한 나머지 화학구조를 전부 바꿔 양쪽의 장점만을 취했다.임상시험에서 어떤 결과가 나왔나선플라는 위암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만 ... ...
열 번째 행성 또다시 논란
과학동아
l
199911
새로운 행성의 궤도가 현재의 행성들의 궤도에 비해 매우 기울어져 있으며 공전 방향도
반대
라고 밝혔다. 이 행성은 태양계 외곽을 지나던 떠돌이 별이 태양의 중력에 포획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그러나 많은 천문학자들은 아직 회의적이다. “단지 두 그룹에서 같은 결과를 내놓았다고 해서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