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대"(으)로 총 3,962건 검색되었습니다.
- 4. 화면색과 실제 색이 다른 이유과학동아 l199908
- 직선 상에 오는데 반해 색을 빼면 반대쪽 직선에 위치한다. 흰색에서 빨강을 빼면 빨강의 반대쪽 색은 시안(C)이 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흰색에서 초록(G), 파랑(B)을 빼면 각각 마젠타(M), 노랑(Y)이 된다. 따라서 인쇄, 도색 등에 쓰이는 염료나 페인트 등에는 CMY의 3원색을 사용한다. ... ...
- 2. 망가진 생체리듬이 병을 부른다과학동아 l199908
- 10-11월경부터 기분이 저하되기 시작해 3-4월경까지 우울증을 앓는 ‘겨울형’ 그리고 반대로 여름철에 우울해지는 ‘여름형’ 환자들이 여기에 속한다.임상적으로 겨울형 우울증 환자가 여름형의 경우보다 훨씬 많다. 한국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연간 일조량이 부족한 북미에서는 인구의 약 4- ... ...
- 쥐라기공원으로의 여행과학동아 l199908
- 빠지고 하루종일 땅만 보니 허리도 아팠다. 온통 진흙으로 도배한 바지를 털고 있을 때, 반대쪽 언덕밑에서 갑자기 크게 외치는 소리가 들려왔다. 주인공은 자원봉사자로 참가한 고등학교 과학교사인 린다였다. 생전 처음 화석을 발견했는데, 공룡뼈인지 또 공룡이라면 어떤 부위의 뼈인지 몰라 ... ...
- 3. 걸음마 배우는 우리나라 SF과학동아 l199908
- 하나인데, 이것은 실제로 일어난 역사적 사실을 일어나지 않았다고 가정하거나 혹은 그 반대의 설정 하에서 역사를 재구성해보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복거일 씨의 ‘비명을 찾아서’(1987)가 대표적인 예이다. ‘비명을 찾아서’에서는 일제의 한반도 지배가 계속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최근에는 ... ...
- 3. 위험일 경고하는 바이오리듬과학동아 l199908
- 날이 위험일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고조기에서 저조기로 바뀌거나 반대로 저조기에서 고조기로 바뀌는 날이 위험일이다. 리듬의 성질이 급격히 뒤바뀌기 때문에 심신의 상태가 불안정해진다는 설명이다. 만일 어느날 3가지 리듬이 모두 위험일로 지정돼 있으면 이 날에는 무슨 ... ...
- 내 몸의 건강지표 소변과학동아 l199908
- 항이뇨호르몬은 재흡수를 증가시켜 소변량을 줄이고 소변의 농도를 진하게 한다. 반대로 수분이 많은 것으로 감지되면 항이뇨호르몬의 분비가 줄어들어 소변량은 늘어나면서 소변은 희석된다.날씨가 추워지면 자주 소변을 보게되는 것과 수영장의 차가운 물 속에 들어갔을 때 요의를 느끼는 것도 ...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과학동아 l199907
- 영화의 장면은 마치 이들 비행선이 '반중력'을 이용한 것처럼 보인다. 반중력이란 중력과 반대로 물체가 서로 밀어내는 힘이다.그런데 반중력은 아직 실제로 존재한다는 명확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들도 그 크기가 중력에 비해 턱없이 작다는 점을 시인하고 있다. ... ...
- 내 PC 멀티미디어로 활용하기과학동아 l199907
- 다은받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상의 자유로운 정보교류라며 MP3 유료화를 반대하는 네티즌의 반발도 거세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에는 MP3 파일 자판기와 워크맨 현태의 MP3 플레이어가 선보일 만큼 MP3 열풍은 뜨겁다.윈앰프를 이용한 MP3정보 사이트로는 알짜배기 사이트 들만을 모아 ... ...
- 은하수가 흘러넘치는 7월의 슬픈 사연들과학동아 l199907
- 거리는 알타이르까지가 약 17광년, 베가까지가 약 25광년이다.알타이르는 베가와 반대로 '날아오르는 독수리'를 뜻하며 21개의1등성 가운데 12번째로 밝은 0.77등급별이다. 하지만 별자리 속의 별들을 연결해 보면 날개를 펼치고 땅 위의 먹이를 향해 쏜살같이 내려오는 독수리 모습으로 보인다. 견우별 ... ...
- 삼복더위와 누렁이의 수난과학동아 l199907
- 겉이 뜨거워 추운 날씨에는 잘 적응을 잘 하지만, 더운 날씨에는 매우 어려움을 겪는다. 반대로 남방계는 늘 더운 날씨에 적응돼 있으므로 추위를 견디기가 힘들다. 우리나라와 같은 기후에서는 북방계 체질이 많은데, 이들은 여름이 가장 힘들어 여름철에 보양식을 찾는 문화가 생겼다는 것이다. ... ...
이전2662672682692702712722732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