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즉시
당장에
바로
직접
d라이브러리
"
곧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화」의 두얼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와 같은 사업은 지방이 중심이 되어 추진할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기 때문에
곧
도입될 지방자치제는 그 성과를 더욱 높여주게 될 것이다. 각 지역에서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합심하여 지역의 요구와 여건에 맞는 특성있는 지역정보화를 활발히 추진하여 수도권에로의 집중이 완화되기를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미국에서는 값비싼 기계와 화학약품을 손쉽게 쓸 수 있다. 부러운 일이지만 우리도
곧
비슷하게 따라갈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한다.여기서는 그밖의 몇가지 점을 지적하고 싶다. 계속되는 과 세미나를 통해 다른 대학 화학실험실의 연구현황과 그 방법들을 접할 기회가 많이 주어진다는 것이 그 ... ...
활용분야 넓혀가는 클린룸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클린룸 업체와 같이 클린룸 기술에 대한 기준을 작성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곧
클린룸에 대한 기술기준이 확립될 것으로 생각한다.클린룸의 청정한 정도를 평가하는 것으로는 '클래스(class)'가 있다. 클래스 1은 1평방피트(${ft}^{3}$) 공기 체적내에 입자 직경이 0.5μ 이상인 입자가 1천개 이하인 ... ...
푸른 장미의 등장은 시간문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지켜보는 것이다."이 계획에 참여한 분자생물학자 에드위나 코니시의 말이다.연구팀은
곧
이 '푸른'유전자를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페시엔스라는 박테리아에 삽입시킬 예정이다. 그런 다음 장미의 꽃잎에 상처를 입히고 그곳을 통해 장미가 전에 갖지 못했던 유전자를 집어넣어줄 것이다. 이 작업은 ... ...
차세대 원전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000년대 초반 신형안전로와 고속증식로가 실용화되고
곧
이어 핵융합발전소도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차세대 원자로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원자로는 어떤 것인가를 알고 그 다음에 차세대 원자로를 설명하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그러나 독자 여러분 중에는 원자력발전소에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쏟고 있다. 특히 생물검정센터의 설립이 구체화되고 있어 신약의 안전성과 약효평가가
곧
궤도에 오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지난 87년에 문을 연 국립보건안전연구원도 독성 및 임상시험에서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한국화학연구소는 신물질 개발과 의약품 및 농약스크리닝(screening ... ...
히틀러를 악마로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있다. 다행히도 최근들어 많은 교양과학서적들이 나오고 있다는 소식이다. 양적팽창이
곧
질적 상승은 아니라는 우려와 "전공 분야와 관련된 깊이 있는 연구를 하시요"라는 질책이 들리는 듯 하여 망설여지기도 했으나, 많은 사람이 과학, 이 중에도 수학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갖도록 하는데 조그만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현재 건설이 한창 추진중인 포항공대 방사광가속기(PLS)도 이미 개념설계를 마쳤고
곧
상세설계를 마무리 지을 예정이다. 88년 4월부터 시작된 PLS건설은 지난해 말 국무총리 주재의 '산업정책심의위원회'에서 총예산 1천3백39억원 중 6백억원을 정부예산서 지원하기로 확정하고, 올 예산부터 반영하고 ... ...
암과 AIDS를 번쩍 들어 올릴 수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혈액으로 나갈 수 있다.서두에 언급한 바와 같이 블레스박사팀은 ADA결핍환자를 대상으로
곧
유전자요법을 재차 시도하게 된다. 그들은 환자로부터 림프구를 얻은 다음 이 림프구에 c-DNA가 삽입된 벡터를 이입하고, 다시 시험관내에서 배양한 뒤 환자의 혈관으로 돌려보내게 될 것이다. 이미 연구팀은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알아내는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이들 종족에게도 마침내 20세기의 문명이 찾아왔다.
곧
이들에게 특이한 증상을 보이는 이상한 질병은 의학적인 관심을 끌게 되었다. 처음에는 그 지역주민들의 특이한 유전적 질환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얼마뒤 이들이 장례식에서 죽은 사람의 뇌조직을 나누어 먹기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