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어린이"(으)로 총 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가 교과서와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학교 공부가 더욱 재밌어질 거예요! 헬륨은 우주에서는 수소 다음으로 흔하지만, 지구 대기에는 아주 희박한 원소예요. 지구에 있는 ... ...
- Intro. 꽁꽁 얼려서 미래에 녹인다! 냉동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안녕~, 난 냉동 기술을 연구하는 당나귀 과학자 동키! 최근 난 최초의 냉동 당나귀가 되어 미래에 깨어나기로 결심했어! 2050년에 깨어나도록 설정해 놓고 내가 가장 좋아하는 먹이인 당근과 함께 냉동 캡슐에 들어갔는데…, 아뿔싸! 캡슐 밖으로 당근이 삐져나가고 말았네?! 어떻게 하면 완벽한 냉동 ... ...
- [과학뉴스] 태양의 중심은 표면보다 더 빨리 회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같은 태양이라도 표면과 안쪽 부분인 중심핵의 회전 속도가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그동안 태양의 표면과 중심핵이 회전하는 속도에 대해서는 과학자들끼리 의견이 분분했답니다. 그런데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연구팀은 태양 중심핵이 표면보다 빠르게 회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 ... ...
- [과학뉴스] 먹이의 경로를 예측해서 사냥하는 잠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야구선수들은 날아오는 공의 경로를 예상하고 그쪽으로 이동해 공을 잡아요. 그런데 최근 잠자리도 야구선수처럼 먹이가 이동하는 경로를 예측해 사냥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호주 애들레이드대학교와 스웨덴 룬드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잠자리가 사냥할 때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했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희귀한 고유종을 지키는 곳중앙내수면연구소의 목적은 내수면의 생태계를 관리, 보호하고 내수면 수산 자원을 보존하는 거예요. 이미 멸종된 민물고기 종을 복원하거나 관상용이나 식량으로 사용되는 민물고기들을 기르며 보존하고 있지요. 해외에 사는 민물고기 종도 함께 연구해요. 지구 전체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우리나라와 일본 주변을 흐르는 대표적인 해류는 ‘쿠로시오 난류’예요. 적도 지방으로부터 올라오는 따뜻한 바닷물의 흐름이지요. 한자어 ‘난류’에는 그 뜻이 고스란히 담겨 있답니다. 난류를 이루는 첫 번째 한자는 ‘따뜻할 난(暖)’이에요. ‘하늘에 떠 있는 해(日)를 두 손으로 끌어 당긴 ...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장이권 교수님이 숲에 사는 곤충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➋ 야간 곤충 탐사에 푹 빠진 어린이 대원들.➌ 숲에서 만난 알락하늘소.➍ 주파수 앱을 이용하면 귀뚜라미와 여치의 노랫소리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배윤혁 연구원은 “국립생태원 일대 숲은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고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달콤하고 시원한 아이스크림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8월의 어느 여름날, 섭섭박사님은 뻘뻘 흐르는 땀을 닦으며 실험에 몰두하고 있었어요. 그러다 문득 더위를 물리칠 시원한 아이스크림이 먹고 싶어졌지요. 하지만 가까운 슈퍼는 여름휴가로 문이 닫혀 있었어요. 이제 남은 방법은 하나! 어떻게 하면 아이스크림을 직접 만들 수 있을까요? ...
- Intro. 과학으로 안전하게 해체한다! 굿바이~, 고리 1호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지난 6월 19일, 우리나라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인 고리 1호기가 영구 정지 됐어요. 앞으로 고리 1호기는 5년간의 준비 과정을 거친 뒤, 본격적으로 해체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에요. 그런데 원자력 발전소를 해체하는 데는 15년 이상이라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고 해요. 대체 왜 이렇게 오래 걸리는 걸까 ... ...
- Part 3. [고리 1호기] 해체까지 남은 숙제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있어요. 그만큼 고리 1호기를 안전하게 해체하는 일은 중요한 과제가 됐지요. 친구들도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과 필요성에 대해 한번 생각해 보세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안전하게 해체한다! 굿바이~, 고리 1호기Part 1. [고리 1호기] 시작과 끝Part 2. ... ...
이전2622632642652662672682692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