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어린이"(으)로 총 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폭염, 막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가장 큰 원인인 지구 온난화가 멈추지 않는이상 폭염은 계속될 거예요. 앞으로 폭염은 얼마나 더 심해질까요? 또 폭염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멈추지 않는 지구 온난화, 폭염은 얼마나 강해질까?세계 기상을 연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기구인 IPCC는 최신 보고서를 통해 지구 평균기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옥수수 농장 주인 ‘다머코 하모니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옥수수를 너무너무 좋아해서 여름이 되길 손꼽아 기다린 썰렁홈즈. 최고로 맛있는 옥수수를 먹기 위해 소문난 옥수수 농장에 가기로 했다. 옥수수 따기, 옥수수 숨바꼭질 등 다양한 체험이 가능하다는 농장을 골랐는데…. 농장으로 떠나는 날, 집 앞에 웬 헬리콥터가 날아와 있는 게 아닌가!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다시 시작된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달리는 자동차는 매순간 위치가 달라져요. 반면 공원에 있는 나무는 늘 같은 자리에 서 있지요. 이처럼 우리 주변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물체도 있고, 변하지 않는 물체도 있어요. 이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체의 위치가 변하는 현상을 가리켜 ‘운동’이라고 하지요.따라서 물체 ... ...
- 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에휴~, 번번히 수중로봇들만 만나다 보니 피곤해졌어. 그냥 사냥은 포기하고 집에 가서 쉴까 봐. 어? ‘쿵쾅쿵쾅’ 하는 이 소리는 뭐지? 바닷속에서 공사라도 하는 걸까?▲바다 밑 케이블은 내가 책임진다! ‘우리-T’_(우리나라의 수중건설로봇 3총사)•크기 : 6.5m X 5m X 4.5m•무게 : 15~20t•작업 수심 ... ...
- [가상인터뷰] 둥둥~, 북 치는 앵무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안녕? 난 어과동의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얼마 전 푸푸와 숲으로 소풍을 갔다가 신기한 동물을 발견했어! 한 발로 막대기를 들고, 빈 나뭇가지를 때리며 북을 치는 것처럼 음악을 연주하는 동물이었지~. 신나는 음악에 나도 모르게 어깨춤을 덩실덩실 췄어. 그런데 이 새는 왜 북을 치는 걸까? ...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골반 뼈가 크면 암컷이다?티라노사우루스 뼈 화석에 ‘수’라는 이름이 붙은 배경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어요. 첫째로는 티라노사우루스 뼈 화석을 최초로 발견한 연구원 이름이 ‘수 헨드릭슨’이기 때문이에요. 두 번째 이유는 이 티라노사우루스가 암컷이라서 여성적인 이름으로 불리게 됐다고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가 교과서와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학교 공부가 더욱 재밌어질 거예요! 공기 중 약 21%를 차지하는 산소는 생명체에게 매우 중요한 기체예요.그렇다면 산소는 누가 처음 ... ...
- Intro. 상어도 깜짝 놀란 수중로봇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안녕? 난 바다의 포식자, 청상아리야. 오랜만에 넓은 바다로 먹이사냥을 나왔지. 후후! 저 앞에 있는 물고기를 꿀꺽 삼켜 볼까~? 아얏! 내 이빨을 깨고 나오다니! 번쩍이는 눈에 매끄러운 몸, 자세히 보니 넌 물고기가 아니잖아?▼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상어도 깜짝 놀란 수중로봇이 온다 ... ...
- 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휴~, 물고기에 이어 인어 로봇까지. 쫓아다니느라 배만 더 고파졌어.이젠 무엇이든 잡아먹을 수 있을 것 같아. 앗! 깜짝이야! 왜 갑자기 새가 바다로 뛰어들…, 어? 너도 설마 로봇?물고기처럼 부력을 조절해 물과 공기를 왔다 갔다~!작년 2월, 아랍에미리트(UAE) 드론대회에서 ‘룬 콥터’가 국제부문 ... ...
- [과학뉴스] 개미 탑의 원리를 밝혀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수십만 마리의 개미가 높은 탑을 만들었어요. 남아메리카에 사는 붉은 불개미는 먹이를 찾거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이런 행동을 하지요. 그동안 과학자들에게 이 탑은 미스터리였어요. 아래에 있는 붉은 불개미는 수십만 마리의 개미들 밑에 깔려 있으면서도 상처를 입거나 죽지 않거든요. ... ...
이전2642652662672682692702712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