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건조한 초기 지구와 부딪치면서 물을 가져왔다고 한다. 지난해 독일 막스플랑크 태
양
계연구소 과학자들은 ‘하틀리2’라는 작은 혜성에서 발견한 물 성분이 지구의 물과 똑같다는 사실을 발견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바닷물의 혜성기원설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연구결과다.바닷물에 녹아 있는 ... ...
Part 3. 라니냐는 남극 심층해류의 심술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굉장한 규모의 어장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상상하기 어려운
양
의 미네랄이나 영
양
염류를 함께 끌어올리기 때문이다. 소녀같은 심술을 부리는 라니냐와 남극 심층 해류의 관계를 과연 누가 풀어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리를 유혹하는 바다의 비밀들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 ... ...
우주 불꽃놀이 ‘거대 플레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변화가 크게 일어난 별을 골라 원인을 분석한 결과, 0.2%에 해당하는 148개의 항성에서 태
양
의 10배에서 최고 1만 배에 이르는 거대 플레어를 관측했다. 관측된 365건의 플레어 중 약 75%는 별의 자전주기가 10일 이내였다. ‘젊은 별일수록 빨리 자전하며, 빨리 자전할수록 자기장도 강해 플레어도 크게 ... ...
지하수의 저주, 싱크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아직도 생생하다. 당연히 지나치게 지하수를 뽑아 썼기 때문에 생긴 결과였다. 이를 과잉
양
수라고 한다.지하수를 너무 뽑아 쓰면 멀리 떨어진 곳의 지반도 내려앉는다. 지하수도 지표수처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을 향해 흐른다. 지하수위가 낮은 지점에서 물을 많이 끌어 쓰면 높은 곳에 있는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런 방식을 ‘히트싱크’라고 한다. 탄두 무게가 무거워져 넣을 수 있는 폭탄의
양
이 줄기 때문에 최근에는 많이 쓰지 않는다.로켓을 식혀주는 ‘냉각’ 방식도 있다. 로켓의 재돌입 궤도를 절묘하게 조절하면 가열된 공기가 로켓 탄두를 녹여버리기 전에 주변 공간으로 열을 배출한다. 탄두의 ... ...
내 가슴은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지난 3월, 세계 3위 실리콘 보형물 생산 업체였던 PIP(폴리 임플란트 프로테즈사)가 공업용 실리콘으로 보형물을 만든 사실이 드러났다. 이어 이 제품 ... 도 115건이나 됐다. 보형물의 성분인 식염수나 실리콘 등이 새는 부작용도 90건에 달했다.K
양
몸속에 들어있는 보형물, 과연 안전한 걸까 ... ...
오늘 나의 죽음은 어디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일주일 동안 섭취하는 알코올 280mL는 공식적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양
이다.과체중이 얼마나 나쁜지는 성인 90만 명의 체질량지수(BMI)와 사망률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결과를 이용해 추측했다. 35세 남성을 기준으로 자신의 체중이 정상체중보다 5kg씩 더 나갈 경우, 그 상태로 하루를 ... ...
과학영재·글로벌 리더 ‘더’ 뽑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하 학생부)나 추천서를 쓸 때 주의해야할 것은 무엇입니까? 입학사정관제는
양
적인 평가가 주가 되는 전형이 아닙니다. 질적 평가가 중요합니다. 학생부도 무조건 길게 쓰고 페이지가 많다고 좋은 것이 절대 아닙니다. ‘학생부 기재의 내실화’가 필요합니다. 학생 개개인에 대한 내용을 진실하고 ... ...
[6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원리를 이끌어 내 호기심을 자극했다면 풀어줘야 한다. 배성환 군의 기사와 김두영
양
의 기사를 반반씩 합치면 읽기도 편하고 과학적인 사실도 다룬 균형잡힌 과학 기사가 나왔을 듯 하다 ... ...
공유지의 비극과 게임이론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바닷가재 통발을 놓는 규칙과 순서 등에 대한 자치 규율을 만들어 바닷가재 잡는
양
을 조절했다. 이 결과 다른 지역이 남획으로 바닷가재가 완전히 사라졌을 때, 이 곳만은 어장을 유지할 수 있었다.게임이론에선 경제활동에서 일어나는 경쟁과 협력, 그리고 배신을 수학적으로 보여 준다. 사람의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