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해저도시요? 만들 수는 있겠지만 누가 바다 속에서 살려고 할까요? 현실성이 없습니다.”“사람은 햇빛 없이 살기 힘듭니다. 햇빛이 들지 않는 바다 ... Intro. 해
양
미션 임파서블Part1. 해저도시 건축학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Part3. 바다 속으로 태평
양
을 건너다Fun 2012 여수세계박람회 100배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
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영화 ‘스타워즈’에는 거대한 우주기지 ‘데쓰 스타’가 여러 가닥의 녹색 레이저빔을 모아 일격에 행성을 파괴하는 장면이 나온다. 오늘날 지구에서도 비슷한 실험이 ... 핵융합 실험에 성공하면 자기장을 이용한 케이스타(KSTAR)와 함께 한국에서 두 개의 인공태
양
이 불을 밝힐 것이다 ... ...
[5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환자의 장기를 이식 받는 경우도 위험할 수 있다.잠복기는 1개월에서 1년에 이르기까지 다
양
하지만 물린 부위가 머리에 가까울수록 빨리 발병한다. 발열, 두통, 무기력 등의 초기 증상은 다른 질병과 구분하기가 힘들다. 그 후에는 음식이나 물을 보기만 해도 목 근육에 경련이 일어나면서 물을 ... ...
초콜릿 복근을 원하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모
양
이 나타난다.그러나 한 번 생긴 지근은 쉽게 없어지지 않는다. 지방을 연소하는
양
도 많아 운동을 잠깐 쉰다 하더라도 살이 덜 찌고 근육을 다시 만들기 쉽다. 임종필 교수는 “최소 3개월 이상은 운동에 전념해야 복근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복근을 덮고 있는 지방도 걷어내야 한다. ... ...
20mm 문턱도 넘나드는 로봇청소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장민 유진로봇 부장은 “1분에 816회나 회전하는 브러시가
양
옆에서 먼지를 모으면 진공흡입으로 먼지를 말끔히 제거한다”고 말했다.로봇청소기의 두 번째 핵심 기술은 ‘길 찾기’ 능력이다. 청소를 한 곳과 하지 않은 곳을 구별할 수 있어야 청소를 깨끗이 할 수 있고 이동 ... ...
공유지의 비극과 게임이론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바닷가재 통발을 놓는 규칙과 순서 등에 대한 자치 규율을 만들어 바닷가재 잡는
양
을 조절했다. 이 결과 다른 지역이 남획으로 바닷가재가 완전히 사라졌을 때, 이 곳만은 어장을 유지할 수 있었다.게임이론에선 경제활동에서 일어나는 경쟁과 협력, 그리고 배신을 수학적으로 보여 준다. 사람의 ... ...
5화 속임수 천국 논리나라로!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나면 즉시 사형! 알겠나?”말을 마친 피타고라스는 글씨가 보이지 않게 종이를 접고
양
손에 들었다.“소명할 기회를 준다니…. 이건 그냥 복불복이잖아요!”폴이 분통을 터뜨리고 있는데, 뭔가 어깨 위에서 꿈틀댔다. 피타였다. 폴은 찌르르 전기가 통하는 듯하더니 머릿속에서 피타의 말이 ... ...
A Little Neptune Suggests Big Thing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작고, 어둡고, 차갑다. 우주에서 생명체가 있는 행성을 찾던 초기에 사람들은 우리의 태
양
과 비슷한 항성 주위를 도는 별들을 찾았다. 그런 곳이 생명이 탄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점차 과학자들은 행성이 적당한 거리에서 공전해 액체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다는 온도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수 있는 모든 데이터의
양
을 계산해 보자.
양
자컴퓨터의 기본 단위가 되는 입자(
양
자)의
양
을 계산한 뒤 이들이 우주공간에서 무작위적으로 배열될 경우의 수를 찾으면 된다. 그 값은 자그마치 10을 10122번 제곱한 수다. 이론적으로 우리 우주 안에는 이만큼의 데이터(정보)가 만들어질 수 있다.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실험을 전개하기도 했다. 원래 이 연구는 1950년대부터 이뤄졌다. 메탄에서 나온 탄소는
양
이 많아지면 고체 상태로 변한다. 수증기가 포화상태가 되면 물방울이 맺히는 것과 같은 원리다. 이 고체가 원래는 흑연이 돼야 하지만 다이아몬드가 있는 곳에서 1000도 이상의 고열 환경이 되면 열역학적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