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처음
요람기
초창기
초대
단서
시작
d라이브러리
"
초기
"(으)로 총 3,318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 달연구기지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옛소련의 붕괴로 당분간 우주개발분야는 미국의 독주가 계속될 전망이다. 현재 계획대로라면 2020년경 본격적인 달 연구기지가 활동을 개시 ... 달의 환경을 이용한 특수 재료를 생산할 수 있는 산업기지로서, 인류의 우주 탐험 전
초기
지로서, 그리고 좋은 관광여행 단지로서 역할할 것이다 ... ...
우주 탄생의 비밀, 중력파 탐지로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대한 생생한 정보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고요한 지금의 밤하늘과는 달리 격렬했을
초기
우주는 중력의 충격파를 충분히 발생시키고도 남음이 있었으리라. 빛의 진행은 그림자가 생기게 함으로써 가로막을 수 있다. 그러나 중력파는 '공간 자체의 물결'이므로 공간 상에 존재하는 만물은 공간의 ... ...
지각변동도 미리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특정지역에서는 1일 최대 7시간의 항법정보를 얻을 수 있다. 블록2 위성은 궤도상 운용
초기
중량이 8백40㎏이다. 블록1위성의 수명은 5년이지만 블록2위성은 태양전지의 성능을 개선해 수명을 5년에서 7.5년으로 늘렸다. 또한 UHF 주파수대의 통신용 중계기가 추가됐고, 위성의 자세제어방식이 ... ...
행렬로 풀어본 AIDS 전파속도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사람들에게 전파되나 비선별적 혼합의 경우보다는 적은 사람들에게 전파된다. 그러나
초기
단계에서는 비선별적 혼합의 경우보다 더 빠른 속도로 퍼진다.이처럼 HIV 감염속도는 혼합형태에 따라 매우 다른 모습을 보여주므로 어느 특정집단을 대상으로 그 집단 내에서의 HIV 감염속도를 구하기 ... ...
아주 높이 있는 먼지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기류가 지구로 떨어져버린 먼지를 대처하기 때문이다.리트메이저에 의하면 태양계의
초기
시절부터 떠다닌 아주 작은 운석과 혜성의 파편 형태로만도 해마다 1만t씩의 우주먼지가 떨어진다고 한다. 나머지 우주먼지 입자는 태양과 다른 항성들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올 수도 있다.우주먼지에 관하여 ... ...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펴 나갔다. 독일은 과학자들이 연구를 계속하도록 배려하였고 프랑스는 적어도 전쟁
초기
에는 누구나 전쟁터에 나가야 된다고 생각하여 젊은 과학자들이 직접 나가 싸우게 한 것이다. 이는 인간의 공평함과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데는 옳은 일이었으나 결국 많은 젊은 과학자들을 전쟁의 제물로 ... ...
컴퓨터의사는 명의인가, 돌팔이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없으므로 오차를 그냥 감수할 수 밖에는 없다.무엇보다도 현재 우리의 수준이 개발
초기
단계라는 사실이 큰 한계점이다. 이것은 아직 대규모의 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는 여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이런 것들을 생각해보면 아직 컴퓨터진단이 의사의 진료를 ... ...
③ 말은 마음의 구조 밝히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학자들은 그러한 의문에 대해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하려고 노력한다. 아주
초기
에는 이런 사람들을 모두 철학자라 칭했다. 즉 잘 알려진 바대로 철학이 모든 학문의 출발점이었다.철학자들에게 궁금한 것은 물론 인간의 마음만이 아니었다. 낮과 밤이 왜 있는지, 하늘에는 별이 왜 ... ...
컴퓨터 명령을 간편하게 처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가장 적합하도록 환경설정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신의 컴퓨터를 자신의 용도에 맞게
초기
조건을 설정하는 일을 최적화(optimize)라고 한다.최적화를 통해 자신의 컴퓨터 성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다는 점에 PC의 매력이 담겨져 있다. 특히 최적화는 컴퓨터의 사용을 한층 편리하게 해주고 컴퓨터에 ... ...
② 거인의 눈으로 천체를 살핀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2년전인 72년 5월 한국천문학회에서다. 소백산천문대는 78년 9월 준공됐다.소백산천문대
초기
에 그곳에 근무하던 선배들이 겪은, 눈을 녹여 밥을 해먹었다는 고생담은 아직도 천문학계에 전설처럼 내려오고 있다. 오직 우주를 향한 정열 하나로 눈도 녹지 않은 산길을 관측 장비를짊어지고 오르내린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