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처음
요람기
초창기
초대
단서
시작
d라이브러리
"
초기
"(으)로 총 3,318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스크를 잘 관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디스켓에서 읽기만 할 뿐 쓰지는 않으므로 자료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디스크를
초기
화하기 위해서 FORMAT 명령을 내리면서 부팅이 되는 디스켓으로 만들려면 /S라는 옵션만 주면 된다고 했다. 그러므로 디스켓의 경우 쉽게 부팅 디스켓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하드디스크에 다른 자료들은 ... ...
성인병 예방의 지름길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있다. 그러나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나 체력수준이 낮은 사람은 운동을 시작한
초기
4~8주는 목표 운동강도보다 조금 낮은 강도에서 시작하고 운동시간도 10~15분으로 시작하여 차차 늘려나가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4~8주가 지나면 목표 운동강도의 범위 내에서 운동할 수 있게 되는데 ... ...
미완성교향곡 우주의 과거 현재 미래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후 거의 30년이 지난 오늘 이에 버금가는 발견이 이루어졌다고 외신은 전하고 있다. 우주
초기
'물질의 요동'(ripples of matter)을 코비(COBE, Cosmic Background Explorer)라고 명명된 관측 위성이 발견했다는 것이다. 여기서 물질의 요동이란 태초 직후 은하들이 우주 공간 여기저기에서 이루어지는, 은하형성의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설립된 한국이동통신 하나만으로는 늘어나는 통신수요를 충당하기 벅차다고 판단, 6공
초기
에 새로운 사업자를 선정하기로 했던 것. 이 사업에는 선경 포철 동부 쌍용 동양 코오롱 등 6개 재벌이 참여신청을 했다. 삼성 금성 대우 현대 등 4대 재벌은 단말기사업을 하고 있다는 이유로 처음부터 ... ...
3 작물개량과 육종의 첨병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있는 품종은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유전자 전환기술의 효과는
초기
단계에서는 기존의 품종개량과 비슷하지만, 이 기술이 확실하게 정착되면 간척지에서도 재배가 가능한 벼, 또는 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재배할 수 있는 채소 등 그 이용가능성이 무궁무진해 세계적인 관심속에 ... ...
연료전지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추세다. 대전EXPO에 전시될 듯우리나라의 연료전지 기술연구는 상대적으로 뒤떨어진
초기
단계이나 과학기술처 동력자원부 한국전력 등의 적극적인 연구사업 추진으로 기술개발의 범위와 연구인력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핵심장치인 연료전지 본체(스택)는 일본에서 도입했으나 연료개질장치와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문제는 그렇게 커가는 속도가 너무 느린데에 있다. 우리의 우주나이 2백억년이란 시간은
초기
10만분의 6정도의 섭동들이 별이나 은하로 자라기엔 너무나 짧은 시간이라는 점이다.우주의 나이 1백조년?구체적인 내용을 예시해 보자. 대폭발이론에서 중력을 통한 섭동의 성장 속도는 대학생 정도의 ... ...
(3)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때에는 공룡 이외에 거대한 체구의 동물들이 존재하지 않았다. 포유류도 중생대
초기
부터 생존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대개 현생 들쥐 정도의 체구가 작은 것들뿐이었다. 그러므로 이 시대의 지층에서 거대한 골격의 화석이나 큰 발자국이 나타나면 고생물학자들은 이를 안심하고 공룡의 것으로 ... ...
생명 탄생에 중력이 필요?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깨어났다. 0일된 알중 한개는 계속 살아 있었다는 것도 확실하기 때문에 생물의 발생
초기
에 중력이 절대 필요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고 쓰다교수 는 말한다.알위치 바꿔주기의 효과에 관해서는 "우주에서는 필요없는 일이었는지 모르지만 지상에서는 수정후 약 7일까지 계속 해주지 않으면 부화하지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절대 안된다는 것을 모두가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해양과학관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건립
초기
단계에서부터 주제의 설정, 전시연출 개념의 확립 그리고 정확한 경제성 분석이 대단히 중요하다.이러한 바탕위에 해양관계전문가, 전시연출가 그리고 건축가 등이 팀을 이루어 개념설계에서 개관까지 ... ...
이전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