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초소형 벌새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날갯짓을 하며 민첩하게 비행해요. 최근 미국 퍼듀대학교 신얀 덩교수가 이끄는 바이로로보틱스 연구팀은 생김새 뿐만 아니라 비행하는 모습도 벌새와 닮은 로봇을 개발했어요.연구팀은 탄소 섬유 소재를 3D 프린팅으로 출력해 벌새의 생김새를 본뜬 로봇을 ... ...
- 노트르담 지킴이, 앤드루 탤런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문화재의 모습을 디지털 자료로 보관하는 연구를 한답니다. 그 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미국 바사르컬리지 앤드루 탤런 교수의 ‘매핑고딕프랑스’예요. 매핑고딕프랑스는 12~15세기 유럽에 지어진 고딕 양식 건물을 3D 스캐너로 조사하는 프로젝트예요. 이 프로젝트에서는 프랑스 노트르담 대성당을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내 맘대로 플레이 스틱, 스틱 폭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가장 긴 스틱 폭탄은 6만 8480개의 나무 스틱을 엮어 만든 것이에요. 지난 2017년 6월 6일,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네이틱 고등학교 학생들이 힘을 모아 세운 기록이지요. 이날 메이커 스쿨에 참여한 기자단 친구들도 힘을 모아 스틱 폭탄을 만들었어요. 처음에는 나무 막대를 교차하는 방법이 조금 ... ...
- 담배는 담배일 뿐, 향기에 속지 말자 전자담배의 무서운 유혹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성분 분석이 안 된 만큼 이런 담배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는 더욱 불분명하다. 미국 미네소타주 메이요클리닉 연구팀은 저명한 의학 저널인 ‘뉴잉글랜드의학저널(NEJM)’ 10월 2일자에 액상 전자담배가 원인으로 의심되는 폐 질환자 17명의 폐 조직을 검사한 결과, 전자담배에서 흡입한 독성 ... ...
-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별빛의 흔적이 아니며 우주흑체복사로 설명해야 한다는 내용을 이론적으로 정리해 1965년 미국천문학회가 발행하는 ‘천체물리학저널(Astrophysical Journal)’ 에 발표했다. doi: 10.1086/148306 같은 호에는 7cm 파장에서 절대온도가 3.5±1K인 빛이 발견됐다는 펜지아스와 윌슨의 관측 결과를 다룬 논문도 ...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외계행성 자체가 최초로 발견된 건 1995년보다 3년 앞선 1992년이었다. 주인공은 당시 미국국립천문학전리층센터(NAIC)의 알렉산데르 볼시찬 박사였다. 그는 별이 죽어가는 단계인 중성자별(PSR1257+12)을 공전하는 외계행성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doi: 10.1038/355145a0 그리고 3년 뒤 ... ...
- T-800, 28년 만에 등장 터미네이터도 늙을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굳이 할 필요가 있겠냐는 것이다. 이 문제는 2014년에도 제기됐었다. 슈워제네거는 미국 MTV와 인터뷰에서 “금속 소재의 뼈대를 가졌지만 인간의 육체로 덮여 있으니 껍데기가 노화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다만 인간보다는 노화 속도가 느릴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 전자피부는 ... ...
- [통합과학교과서] 이 하늘에서 떨어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자기장이 강해지면서 자북극이 끌려가고 있는 것이죠. 지구 자기장을 연구하는 미국해양대기청의 아너드 출리앳 연구원은 “지구 자기장 변화의 속도가 너무 빨라지면 선박 항해 등에 큰 영향을 줄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스토리 따라잡기 “아이고, 이걸 언제 다 치운담?”꿀록 탐정의 ... ...
- [에디터노트] NASA와 여성, 그리고 노벨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우주인으로는 코크가 14번째, 메이어가 15번째로 각각 기록됐다(코크는 10월 6일과 11일 미국의 남성 우주인과 팀을 이뤄 이미 두 차례 우주유영을 했다). NASA의 ‘여성 드라이브’는 계속될 분위기다. 짐 브라이든스틴 NASA 국장은 18일 여성 우주인들로만 이뤄진 첫 우주유영을 앞두고 가진 ... ...
- [과학뉴스] 빛으로 금화조에게 노래 기억 심는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연구팀이 광유전학 기술로 금화조에게 기억을 주입하는 데 성공했다. 토드 로버츠 미국 사우스웨스턴 텍사스대 신경과학과 교수팀은 광유전학 기술로 노래를 한 번도 배운 적 없는 어린 금화조에게 기억을 주입해 노래를 부르게 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참새목 중 하나인 금화조는 지저귀는 ... ...
이전2642652662672682692702712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