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핫이슈] 뛰는 사이코패스 위에 나는 프로파일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하버드대 심리학 박사 신분을 위조해 캐나다의 한 대학에서 학장까지 했다. 가짜 교수인
셈
이다. 학교 측은 이 같은 그의 행각을 전혀 눈치 채지 못했다.신출귀몰한 사기극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자신과 친분이 있던 한 의사의 학적 기록 전부를 위조해 캐나다 해군에 군의관으로 입대했다. 고도의 ... ...
완벽(完璧)한 입체, 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미치기도 했다. 즉 ‘완벽’이라는 단어의 뜻은 원이 완전무결하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셈
이다.사과와 배가 둥근 이유는?원과 구와 공은 예로부터 수학자들에게 관심의 대상이었다. 이들 도형을 수식으로 나타내는 방식을 알아보자. 원은 평면상의 한 점에서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들의 집합이다. 이 ... ...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번에 감시하는 영역은 가로, 세로 160km에 이른다. 경기도만 한 영역을 한눈에 살피고 있는
셈
이다.이 영역에서 메가번개 같은 섬광현상이 일어나면 초점거리가 짧은 반사경으로 빛이 나온 곳의 위치(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다음 초점거리가 긴 반사경(확대 추적 반사경)을 번개가 친 곳을 향해 ... ...
봄철 생선의 대표 도다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사람들이 부정확하게 그 내용을 전달하다가 비목이라는 전설상의 물고기를 탄생시킨
셈
이다.몸 반쪽에 눈 하나만 있어 두 마리가 한데 모여야만 온전한 형태로 헤엄칠 수 있다는 비목. 가자미류를 보고 오해해 탄생한 전설상의 물고기다.넙치의 일생알에서 막 깨어난 가자미류 새끼는 보통 물고기와 ... ...
[물리]빛과 마찰의 두얼굴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눈은 사물에서 나오는 빛을 흡수해서 사물의 모양을 인식하는 일종의 빛검출 장치인
셈
이다. 맨눈으로 볼 수 없을 만큼 약한 빛은 눈보다 훨씬 민감한 장치를 이용하 여 검출한다. 현대물리학에서는 빛의 기본단위를‘광자’로 정의하고 빛의 에너지는 광자 하나 에너지의 정수 배라고 한다. 따라서 ... ...
소백산천문대에서 펼쳐진 2박 3일 상상력의 향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연구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기도 합니다. SF작가와 천문학자는 상상력의 동료인
셈
이죠.” (이명현 박사)지난 2월 6일 서울 신촌의 연세대 전파천문대에서 우주에 대한 상상력을 먹고 사는 두 부류의 사람들이 만났다. 2월 11일부터 2박 3일 동안 소백산천문대에서 열릴 ‘천문학과 문학의 만남, ... ...
[생태학]난폭한 메뚜기 ‘세로토닌’이 원인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좁을 때 세로토닌 분비량을 증가시킨다. 척박한 환경이 메뚜기의 공격성을 자극하는
셈
이다.연구팀은 이번 분석 결과가 메뚜기 떼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을 찾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메뚜기 떼는 해마다 세계 농토의 20%를 황폐하게 만든다. 지난해 11월 호주에 큰 피해를 줬던 ... ...
이 시대의 교양인을 위한 생생 물리학 강의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됩니다.”그동안 인문·사회계 학생들에게 물리학을 가르치며 얻은 그만의 노하우인
셈
이다. 하지만 최 교수는 “물리학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논리력과 비판적 사고 능력이 중요하다”며 “수학과 과학은 그런 논리력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기르는 과정”이라는 점도 지적했다.“자유로운 ... ...
실종 아동을 둘러싼 진한 모성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이런 성취를 이루지 못했던 것이다. 납치가 아이들의 몸뿐만 아니라 마음까지 해쳤던
셈
이다.강석훈 전문의는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2006년부터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꿈이었던 영화와 드라마 시나리오를 쓰는 작가이기도 하다. 2007년 방송된 SBS 의학드라마 ... ...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표현하면 6.8×109이다. 물 3컵에는 글자 그대로 ‘천문학적 숫자’의 물분자가 들어 있는
셈
이다.그런데 왜 하필 6.02×1023이라는 숫자를 쓸까? 여기에도 분명한 이유가 있다. 가장 가벼운 원자인 수소원자(H)를 모아서 질량 1g이 되게 하려면 수소원자가 바로 6.02×1023개 필요하다. 수소원자 6.02×1023개, 즉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