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숨을 담보한 뱀파이어와의 러브스토리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나온다. 피부가 너무 아름다워 혹시라도 정체가 드러날까 봐 일부러 햇빛을 피해온
셈
이다.그런데 그들의 신기한 피부를 그대로 닮은 병이 인간에게도 존재한다. 바로 ‘건선’이란 피부질환이다. 건선은 은백색의 비늘로 덮인, 붉고 약간 솟아오른 편평한 플라크나 구진(丘疹)이 피부에 생기는 ... ...
방귀대장 소돌이의 탄소마을 구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소똥을 태울 때에도 약 7%나 나온다. 합하면 전세계 메탄 발생량의 약 4분의 1이 소 때문인
셈
이다. 메탄이 온실효과에 기여하는 효과가 전체 온실가스의 15%이므로 전체 기후변화의 약 3.8%는 순전히 소 때문에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방귀대장 소돌이?소의 트림이나 방귀에 메탄이 많은 것은 소가 4개의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동물의 배열 방식은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고 하오. 나의 계통수가 점점 풍성해지고 있는
셈
이오. 고무적인 결과라 지금 내 마음은 들떴다오.하지만 아직도 뭔가 부족한 느낌이오. 생물은 럭비공이오. 예측이 불가능하단 말이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생물학자들은 사용할 수 있는 자료를 모아 ... ...
한국인 게놈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지도를 작성 중이다. 미국의 DNA 분석전문회사인 ‘컴플리트 게노믹스’는 2010년부터 룩
셈
부르크 정부의 지원 아래 2만 명의 게놈을 해독할 계획이다. 컴플리트 게노믹스는 올해부터 1인당 5000달러(약 750만 원)를 받고 게놈을 분석해주는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문제는 현재로선 개인의 게놈 ... ...
케이크에 미친 네 남자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섭취하는 꼴이 된다. 케이크를 매일 먹고도 살이 찌지 않는 일은 영화에서나 가능한
셈
이다.한편 케이크를 먹는 즉시 토하는 진혁은 매일 아침 악몽을 꾸면서 깨고, 남자들과 거침없이 연애를 즐기는 선우도 여자 앞에서는 벌벌 떠는 심각한 여성공포증을 앓고 있다. 멀끔한 겉모습과 달리 어두운 ... ...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못한 행위를 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심지어 다윈이 월리스의 아이디어를 훔친
셈
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다윈은 가능한 빠른 시간 안에 공신력 있는 학회에 월리스의 논문이 발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했고, 함께 발표된 두 편의 글은 분명 다윈 자신이 몇 년 전 써서 미국의 ... ...
넌센스! 오징어먹물 염색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업체들이 오징어 먹물의 검은색을 이용해 염색 메커니즘을 잘 모르는 사람들을 호도한
셈
이다.짙은 갈색 ‘세피아’는 오징어란 뜻 오징어먹물 염색약은 엉터리이지만 사실 오징어먹물은 오래전부터 색소로 쓰였다. 18세기 후반 독일 드레스덴의 야콥 세이델만 교수는 오징어먹물을 처리해 색소로 ... ...
사람들이 재미없는 영화를 끝까지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역시 재미없을 것을 뻔히 알면서도 자리를 박차고 나가지 못하는 이유도 “헛돈을 쓴
셈
이 돼서는 안 된다”는 마음 때문이다. 저자는 이런 일들이 “오로지 앞으로의 이익과 손실만이 중요하다는 점을 깨닫지 못해서 일어난다”며 “과거는 과거일 뿐, 지금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고 강조했다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결과 작은 바이러스에 감염돼 병이 걸렸기 때문이었다. 바이러스가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셈
이다.연구자들은 게놈 크기가 1만 8000 염기쌍이고 유전자가 21개뿐인 이 작은 바이러스를 ‘스푸트니크’라고 명명했는데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호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박테리아에 감염하는 ... ...
펨토초 레이저로 시시각각 변하는 단백질 찍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즉 다차원분광법은 분자세계를 1초에 1015장 찍을 수 있는 고해상도 동영상 카메라인
셈
이다.다차원분광학은 1990년대 후반에 이론이 제안된 뒤, 2003년에야 실험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최첨단 연구 분야다. 그동안 미국의 펜실베이니아대나 MIT가 다차원분광기를 개발하며 실험연구를 이끌어왔다.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