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네 명이었다. 이들에게 어떤 미래가 펼쳐질지는 상상하기 힘들었다. 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에 마련된 천랩의 한켠에는 당시 고락을 다짐했던 네 사람이 추운 겨울에 함께 찍은 사진이 있다. 시린 바람이 부는 듯한 건물 야외에서 두꺼운 옷을 입고 찍은 사진이다. 냉혹한 벤처의 최전선에 선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선택하고 로봇과학자로서 첫 발 내딛다오 교수는 원자력연 직원으로 근무하면서, 그대로 연구소에 남기에는 조금 아쉽다고 생각했다. 원자력 연구 역시 중요하고 가치가 큰 일이었지만, 기계장치를 뚝딱거리며 만들기 좋아했던 만큼 원자력 한 분야에 집중하긴 싫었기 때문이다. 이왕 시작한 ...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미련 안 갖는 그런 삶을 살고 싶어요.” 축에서 떠나는 마지막 날 아침, 한 시간 가량 연구소 주변을 돌아다녔다. 길에서 만난 주민들은 하나같이 “좋은 아침”이라며 말을 건넸다. 돼지 한마리를 삶아서 잔치를 벌이던 마을 주민이 고기 한 점을 툭 떼어줬다. 맛있었다. 주민들은 정이 넘쳤고,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을 밝힌 업적으로 2009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이스라엘 바이츠만연구소의 아다 요나트 박사는 노벨상 또한 하나의 상에 불과하다고 이야기한다.“노벨상 발표를 처음 들었을 때 정말 흥분되고 기뻤죠. 하지만 제가 새로운 발견을 했을 때만큼은 아니었어요.”노벨상 수상자와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곳을 가다 보면 다양한 분야의 연구동이 올망졸망 모여 있다. 그 중에서도 뉴미디어통신연구소는 어찌 보면 우리가 가장 자주 접하고 있는 휴대전화와 통신 단말기, 와이파이(Wi-Fi) 등 네트워크를 연구하는 곳이다. 이곳에서 차세대 네트워크 분야 연구 리더를 양성하고 있는 최성현 교수를 만났다.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전신) 초대 소장, 체신부 장관, KAIST 초대 학장 등을 역임했다. 1982년 한국전기통신연구소 소장 시절에는 “전전자교환기(TDX)를 개발하지 못하면 어떤 처벌이라도 받겠다”는 각서를 쓴 뒤, 1000억 원이 넘게 투입되는 무모한 국책사업이라는 비난을 극복하고 4년 만에 TDX 국산화에 성공해 ‘1가구 1전화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일이 항상 순조로웠던 건 아니었다. 예상치 못하게 병역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정부출연연구소에서 전문연구요원으로 복무하려던 게 원래 계획이었는데, 바로 창업을 하면서 병역을 해결하지 못했던 것이다. 한번은 초청을 받아 모로코에서 건설교통부 장관을 만날 기회가 있었는데, 출국을 하지 ...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다 듣고 논문만 남겨둔 상태였다. 갑자기 지도교수가 다른데 연구소로 갔다. 다시 다른 교수 밑에서 논문을 쓰려면 2년을 더 해야 했다. 이 관장은 박사 수료 상태에서 한국으로 돌아왔다. 예전의 기억을 되살려 책을 썼다. ‘해리 포터’라는 책이 세계적으로 대히트를 친 ... ...
- [생생 포토 뉴스] 나뭇잎은 ‘다단계’ 구조!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싱싱하다. 이 강한 생명력의 비결이 ‘수학’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막스플랑크 연구소 엘레니 카티포리 박사팀은 잎맥의 고리형 네트워크를 연구해 수학 모델을 세운 결과를 미국 공공과학도서관회보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여러 종류의 나뭇잎을 구하여 잎맥의 개수, 각 마디의 위치 등을 ... ...
- 생태계 파수꾼 꿀벌, 도시 하늘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밀원식물을 가꿀 필요가 있어요" 나카무라 준 교수 (일본 타마가와대학교 꿀벌과학연구소 교수) 꿀벌이 살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자꿀벌을 단순히 도시에 데려오는 일이라면 애완용 동물을 키우는 것과 크게다르지 않다. 꿀벌이 도시에서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도시 생태계를 함께 ... ...
이전2642652662672682692702712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