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밍크고래는 남극바다의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생태계를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콘으로떠올랐어요. 지난달 18일에 영국 국립해양연구소 해양생물학 연구팀이 로봇 탐사선 ‘아이시스’를 통해, 칠레 남쪽의 남극해 바닥에 있는 10.7m짜리 고래 뼈를 발견했거든요. 연구팀은 해수면에서 1.6㎞ 아래의 모래 위에 놓여 있던 이 뼈의 주인이 64년 ... ...
- 수학과 세상의 경계를 넘나든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지원과 영향력으로 수학 낙후지역인 남미에서 IMPA★는 드물게 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수학연구소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 당시 스메일은 동역학계 연구에 몰두하고 있었는데, 그 인연으로 키운 제자인 브라질의 수학자 제이콥 팰리스는 동역학계의 뛰어난 학자가 되었다.이뿐만이 아니라, 스메일은 ... ...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엉금엉금 기는 ‘로보시미안(RoboSimian)’을 선보인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 ▲로봇 ’발키리(Valkyrie)’를 내세운 NASA 존슨우주센터 ▲일본의 산업용 두발 로봇을 개조해 재난구조용 로봇 스차프트(SCHAFT)를 개발하고 있는 기업 스차프트가 꼽혔다.DARPA 측은 7월 11일(현지시간) “중간 ... ...
- 천문학 - 해왕성의 잃어버린 막내 찾았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잃어버린 막내 찾았다해왕성의 위성이 하나 늘어났다.마크 쇼월터 미국 외계문명탐사연구소(SETI) 박사는 해왕성의 희미한 고리를 조사하던 중 지름이 19km에 불과한 조그마한 위성을 새로 발견했다.이로써 해왕성의 위성은 총 14개가 됐다.이 위성은 해왕성의 위성 중에서 가장 작다. 육안으로 볼 수 ... ...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보면 사람은 아메바의 200분의 1도 안 된답니다. 생활을 바꾸는 미생물 DNA 연구실“DNA 연구소 3층에는 수많은 미생물들이 다양한 물질을 만들고 있어요. 미생물 공장인 셈이죠. 박 기자가 이곳저곳을 뒤지며 염기를 찾고 있고, 헷갈리우스는 숨어서 지켜보네요. 변 기자가 헷갈리나의 매서운 눈과 ...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수학자들은 리만가설을 멀리했다. 연구에 다시 불이 붙은 건 2000년에 미국 클레이 수학연구소가 리만가설을 7대 수학 난제로 선정하면서부터다. 이후 많은 수학자들이 도전하고 있지만, 악마의 문제는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았다.별별 소수 핫 32000년이 넘는 긴 세월 동안 많은 수학자들이 소수 연구에 ...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사람 입장에서 바이러스의 방문은 언제나 달갑지 않다. 조금만 무리했다 싶으면 찾아오는 가벼운 몸살감기에서부터 눈병, 장염, 그리고 목숨을 위협하는 악명 ... 박사를 마쳤다. 현재 연세대 생명시스템대학 생명공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국제백신연구소 객원선임연구원을 맡고 있다 ... ...
- 고인류학 - 네안데르탈인 악세사리 한번 보세요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고인류학 - 네안데르탈인 악세사리 한번 보세요약 60만~2만 5000년 전에 유럽과 시베리아 부근에 살았던 인류의 친척 네안데르탈인이 화장이나 장신구로 치장을 했는지 여 ... 연구는 ‘플로스원’ 7월 10일자에 실렸다.이미지 출처│REX, NOAA, 플로스원, 위키미디어, 브리스톨대 로봇연구소 ...
- 생물학 - 거북 등딱지 가슴뼈에서 왔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몸을 보호하는 거북. 이 등딱지는 외골격일까, 내골격일까?타츠야 히라사와 일본이화학연구소 박사팀은 거북의 등딱지가 거북 조상의 흉곽(가슴뼈)에서 발달했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9일자에 발표했다.척추동물의 뼈는 내골격과 외골격으로 나눌 수 있다. 사람의 뼈는 ... ...
- 베컴과 조던의 공통점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수학의 다양한 성질을 추론하는 기반이 되기 때문에 이렇게 부른다. 미국 클레이수학연구소는 이 문제에 100만 달러(약 11억 원)의 상금을 걸었으나 아직 아무도 상금을 받지 못했다.사실, 리만 가설에 대한 증명은 고사하고 그 자체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것조차도 쉽지 않다. 리만 가설이 무엇인지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